정치 편파성, 협회 개인 사유화, 허위 공적서 작성 의혹 등 사퇴 이유 열거
전영복·임종선·정재선 대의원, 김갑제 전 광주전남지부장 등 간부급 참여
![김원웅 광복회장(사진)의 퇴진을 요구하는 광복회 대의원들의 성명서가 발표됐다. [뉴시스]](/news/photo/202105/450672_367900_5911.jpg)
[일요서울 l 정두현 기자] 광복회 대의원, 지부장 등 전현직 간부급 인사들이 성명서를 내고 김원웅 광복회장의 정치 편향성과 협회 사유화, 허위 공적서 작성 의혹 등 그간의 행적을 낱낱이 지적하며 국민들에 대한 사죄와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광복회장을 둘러싼 각종 의혹과 논란에 누적돼 왔던 협회 임직원들의 반발 정서가 이번 성명서로 표출되면서, 광복회 내분이 극에 치닫는 양상이다.
해당 성명서에는 한말 호남의병장 전해산 장군의 후손인 전영복 대의원, 민족대표 임예환 선생의 후손인 임종선 대의원, 신간회 정태봉 선생의 후손인 정재선 대의원을 비롯해 한말 호남의병장 김태원 장군의 후손인 김갑제 전 광주전남지부장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5일 공식 성명서를 내고 “작금의 광복회는 김원웅 회장의 독선과 아집으로 파탄위기에 처해있다“며 “때 아닌 이념 논쟁과 진영논리에 사로잡혀 광복회원은 물론, 전 국민까지 혼란에 빠뜨려 협회의 해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까지 나오는 등 절체절명의 위기에 치닫고 있다“고 이같이 밝혔다.
무엇보다 김 회장이 사퇴해야 하는 이유로 광복회 단체장으로서 지켜야 할 정치적 중립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는 점을 들며 “민족정기를 살리고 통일조국 촉성에 전념해야 할 광복회를 ‘친일적폐 청산’이라는 미명 하에 정관에 분명하게 명시된 정치적 중립을 심각하게 훼손하여 광복회가 국민여론을 둘로 쪼개놓는 등 지탄의 대상이 됐다”고 일갈했다.
또 “김 회장 자신을 반대하거나 비판한 광복회 지부장·지회장 등 임직원들을 법과 원칙에 준하지 않고 좌천, 해임하는 전횡을 일삼았다. 심지어 토착왜구로 몰아세우는 만행을 서슴지 않았다”고 밝히며 김 회장의 단체 사유화의 심각성을 꼬집었다.
앞서 김임용 광복회원이 김 회장의 멱살을 잡은 사건으로 협회 상벌위원회가 개최되는 것에 대해선 “그간 김 회장의 어처구니 없는 행태를 단적으로 보여준 일”이라면서 “회장이 공식 석상에서 회원에게 멱살을 잡히는 수모를 당했다면 자신의 부덕으로 여겨야 하는데, 반성은 커녕 김임용 씨를 상벌위원회에 회부하는 게 맞는 일인가”라며 따져 물었다.
이 밖에도 광복회 내부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는 김 회장의 국가유공자 허위 공적서 작성, 수행비서 양자 입양 사건에 대한 허위사실 입증, 부정선거 의혹 등을 조목조목 들어 “김 회장이 사퇴해야 할 이유는 차고도 넘친다”며 강조했다.
다음은 광복회 대의원 성명서 전문.
<광복회 대의원 성명서>
작금의 광복회는 김원웅 회장의 독선과 아집으로 파탄 위기에 처해있다.
때 아닌 이념논쟁과 진영논리에 사로잡혀 광복회원은 물론 전 국민까지 혼란에 빠트리는 바람에 광복회의 해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까지 쏟아지는 상황이다.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이에 지금껏 중도를 표방하며 회원 화합과 광복회의 바로세우기를 위해 노력해 왔던 우리는 광복회의 현실을 더 이상 묵과할 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우리의 입장을 천명한다. 우선 김원웅 회장의 당선에 기여했던 우리는 회원님들께 돈수백배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 아울러 김원웅 회장은 전 국민과 광복회원들께 진심어린 사죄와 함께 즉각 퇴진할 것을 요구한다.
민족정기를 살리고 통일조국 촉성에 전념해야 할 광복회를 친일적폐 청산이라는 미명 하에 정관에 분명하게 명시된 정치적 중립을 심각하게 훼손하여 광복회가 국민여론을 둘로 쪼개놓는 등 지탄의 대상이 된 잘못이 그 첫 번째 이유다.
또한 광복회를 사유화하여 자신을 반대하거나 비판한 지부장과 지회장 등 임직원 인사를 법과 원칙에 준하지 않고 마음대로 해임하는 등 전횡을 일삼았고, 심지어 토착왜구로 몰아세우는 만행을 서슴지 않고 있는 것이 두 번째 이유다. 회장의 멱살을 잡은 김임용 회원의 사건만 봐도 김 회장의 어처구니 없는 행태를 단적으로 설명해 준다. 회장이 공식 석상에서 회원에게 멱살을 잡히는 수모를 당했다면 자신의 부덕이며 소통이 부족했다고 대국민 사과와 함께 회원들에게도 앞으로 더 잘하겠다는 다짐으로 마무리해야 옳은가? 상벌위원회에 회부해야 옳은가? 자신은 회원들로부터 정치적 중립 의무를 위반하여 고발당했는데도 불구하고 상벌위원회에 회부하지도 않으면서 누가 누구를 처벌할 수 있단 말인가?
이 밖에 광복군 부모 공적과 관련 의열단하고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데도 의열단원이라고 속이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무국 비서관이라고 1930년대에는 이미 사라진 직제를 기록으로 제출하는 등 허위 공적서 작성의혹, 각종 사업 추진과 관련 예산 결산을 제대로 밝히지 않아 금품 관련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는 점, 수행비서 양자 입양 사건에 허위 사실을 사실처럼 확인서를 써주어 경찰조사를 받는 등 10여 건이나 되는 민형사 사건에 연루되어 있는 점. 회장 선거와 관련, 부정선거 의혹이 새롭게 밝혀져 당선무효소송이 진행되고 있는 등 김원웅 회장이 사퇴해야 될 이유는 차고도 넘친다.
우리는 그동안 4월 말까지 해결책을 찾겠다는 광복회 허현 부회장의 간절한 요청에 따라 절제하며 참아왔으나 날이 갈수록 암울해지고 있는 광복회의 현실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어 김원웅 회장의 즉각 사퇴를 재삼 촉구하는 바이다.
2021년 5월 5일
(사)한말호남의병기념사업회 이사장 김갑제(한말호남의병장 김태원장군의 직손, 전 광복회 광주전남지부장)
광복회 대의원 협의회 부대표 전영복(한말호남의병장 전해산장군의 직손, 광복회대의원)
전)3.1독립유공자유족회장 임종선(민족대표 임예환선생 직손, 광복회대의원)
독립유공자협회 사무총장 정재선(신간회 대구지회장 애국지사 정태봉의 직손, 광복회대의원)
정두현 기자 jdh20841@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