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김원웅 vs 반대파’ 고성에 몸싸움... 김원웅 사퇴 촉구한 윤봉길 장손녀
‘친김원웅 vs 반대파’ 고성에 몸싸움... 김원웅 사퇴 촉구한 윤봉길 장손녀
  • 온라인뉴스팀
  • 입력 2021-04-23 20:46
  • 승인 2021.04.23 22:44
  • 호수 1408
  • 62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원웅 [뉴시스]
김원웅 [뉴시스]

 

[일요서울] 독립유공자 후손들끼리 ‘난투극’이 오가는 볼썽사나운 장면이 지난 23일 펼쳐졌다. 광복회는 이날 독립유공자 후손인 김임용씨에 대한 징계 여부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김씨는 지난 11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야외광장에서 열린 제102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 김원웅 광복회장의 멱살을 잡는 등 거친 항의를 했다. 회의에 앞서 김 회장을 지지하는 광복회 관계자와 김 회장 사퇴를 요구하는 광복회원이 뒤엉켜 고성과 주먹이 오고가는 등 여의도 광복회관은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광복회 관계자는 “오늘(23일) 결론을 내지 않고 정관에 따라 오는 28일 오전 10시 30분 2차 상벌위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징계위에 회부된 김임용씨는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장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 등을 역임한 김붕준(1888∼1950) 선생의 손자다. 그는 지난 11일 열린 제102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 김원웅 회장의 멱살을 잡았다가 제지당했다.

김씨가 속한 ‘광복회 개혁모임’과 ‘광복회 정상화추진본부’ 소속 30여명은 이날 상벌위에 앞서 광복회관 앞에서 김원웅 회장 사퇴를 촉구하는 맞불 집회를 열며 시작부터 파행을 예고했다.광복회가 회원들 간 내분에 휩싸이게 된 원인은 김원웅 회장의 ‘정치 행보’에서 비롯됐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김원웅 회장은 지난 1월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에게 독립운동가인 ‘최재형 상’을 수여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광복회와 김원웅 회장은 추 장관이 법무장관으로 재임하며 친일파 소유 재산을 국가로 귀속하도록 기여한 공로가 인정돼 상벌위원회에서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김원웅 회장이 2019년 6월 취임 후 새로 만든 상 수상자 중 더불어민주당 소속이거나 한때 당적을 보유했던 사람이 상당수를 차지했기 때문에 광복회 측 주장에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에 일부 광복회 회원들은 “김원웅 회장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에게 ‘최재형상’을 수여하며 노골적으로 친여 활동을 해 독립운동가들의 얼굴에 먹칠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김원웅 회장의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 논란 등과 관련해 “아직까진 법적 의무 위반으로는 보기 어려운 상황”이란 입장을 밝혔다. 이남우 보훈처 차장은 지난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광복회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느냐’는 윤재옥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현재 (상황을) 광복회에 요구되는 정치적 중립 의무, 법적 의무 위반으로 볼 것인지를 다각적으로 검토했으나, 국가유공자단체법상의 정치적 중립 의무가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했다. 한편, 한국광복군 제2지대 장안회(長安會), 광복회 개혁모임, 광복회 정상화본부 등 단체들은 이날 여의도 광복회관 앞에서 김원웅 회장의 정치편향 및 인사전횡에 반발하며 김 회장 사퇴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윤주경 [뉴시스]
윤주경 [뉴시스]

 

 

충남 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윤봉길 의사(1908~1932)의 장손녀인 국민의힘 윤주경(62) 의원(비례)은 지난 16일 성명을 발표, “11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제102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 임시의정원 의장 김붕준 선생의 손자 김임용 씨가 김원웅 광복회장의 멱살을 잡은 사건이 있었고, 광복회가 김 씨에 대한 징계에 착수했다. 이유는 김 회장과 회원들의 명예를 실추시켰다는 것인데, 정작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들의 명예를 누가 실추시켰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정치적 중립 의무를 지키지 않은 김 회장의 돌출 발언과 편파적 행동에 대해 독립유공자 후손은 물론 우리 국민은 참고 또 참았다”며 김 회장에 대한 분노를 표출했다.

독립기념관장, 매헌윤봉길기념사업회 이사, 대통령 소속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윤 의원은 “광복회의 역할은 국민 통합과 화합이다. 광복회는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의 고귀한 독립운동 정신을 이어받아 국민을 선도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또 ‘친일 청산 없이는 국민통합이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친일반민족세력이 민족을 이간시키는 데만 몰두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친일 청산은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민족을 이간시킨 친일파를 청산한다는 광복회가 오히려 편 가르기로 국민을 분열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독립운동에는 좌우가 없었다. 누구든 정치적 구호로 국민 분열을 일으키는 것은 독립운동 정신에 역행하는 일”이라고 비판한 윤 의원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자당 의원들과 함께 공동성명도 내 김 회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온라인뉴스팀 ilyo@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