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신간] 경제기사가 말해주지 않는 28가지
[화제의 신간] 경제기사가 말해주지 않는 28가지
  • 인터넷팀 기자
  • 입력 2014-04-14 14:19
  • 승인 2014.04.14 14:19
  • 호수 1041
  • 55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된 사실 뒤에 숨겨진 불편하고 낯선 경제

경제 비평가이자 칼럼니스트 윤석천이 우리가 알기 어려운 불편한 경제의 진실을 파헤친다. 경제신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사면서, 단순히 보이는 것 이외의 진실이 숨어 있는 기사를 발췌해 인용하고 그 뒤의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우리가 알아야 할 진짜 경제를 보여준다. 경제기사를 읽는 것을 넘어 사유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경제기사를 쉽고 재미있게 읽도록 도와주는 책들이 많다. 경제기사가 대체로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다 보니 용어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탓이다. 그런데 이렇게 개념 공부를 하는 사이 나도 모르게 경제기사가 놓은 덫에 덜컥 걸려들고 만다. 자본주의 시스템에 스스로 길드는 게 대표적이다. 경기침체를 어쩔 수 없는 흐름으로 당연시하거나 경제적 실패를 자기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여기 해당된다. 경제 정보를 얻는 거의 유일한 통로인 경제기사라서 그 폐해는 심각하다. 권력과 자본의 시녀로 전락한 언론일수록 더 그렇다.

이 책은 거짓은 아니지만, 정작 중요한 사실은 교묘히 피해 가거나 다른 중요하지 않은 사실에 관심을 집중시켜 진실을 놓치게 하는 경제기사로부터 진짜 경제를 만나게 해주는 지침서다. 일례로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증가했다며 호들갑 떠는 경제기사를 만났다고 해보자. 흔히 1인당 소득이 높아지면 삶이 나아질 것으로 생각하지만, 진실은 그렇지 않다. 경제 통계 대부분에 ‘평균’의 함정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상 1인당 소득이 3만 달러를 돌파했다면 가진 사람들은 더 많은 부를 가져갔다는 뜻이며, 99퍼센트에 이르는 보통 사람들은 더 어려워졌다는 어두운 진실이 숨어 있는 것이다. 이런 식의 기사들에는 늘 개개인 삶의 질이 향상됐다는 소식은 빠져 있다. 이렇게 원래 자료를 가공한 이차 정보인 경제기사는 ‘사실’임엔 틀림없지만, 현실은 비틀려 있기 일쑤다.

그렇기에 저자는 경제기사를 읽을 때 단순히 정보만 읽는 게 아니라 끊임없는 의문을 가지고 기사가 의도적으로 숨기고 있는 사실을 파악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경제기사를 볼 때 한 번쯤 ‘왜?’, ‘정말?’이라고 스스로에게 묻고 생각할 때 진실에 한 걸음씩 가까워질 수 있다.

경제기사에서 내놓는 주식시장 전망은 언제나 낙관과 긍정으로 일관한다. 이유가 있다. 개인들을 주식시장에 끌어들여야 기관투자자들이 살기 때문이다. 대규모 주식을 가지고 있는 기관투자자들이 주식을 팔기 시작하면 주가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때 기관투자자들이 가지고 있는 주식을 살 개인투자자가 없다면 이들은 이익을 얻을 수 없다. 시장은 누군가 돈을 벌기 위해서 다른 누군가 잃는 사람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제로섬’의 정글이다. 그래서 그들의 전망은 언제나 낙관적일 수밖에 없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장밋빛 전망은 희생양을 끌어들이기 위한 미끼에 불과할 수도 있다.

부동산 대책을 이야기하는 경제기사에서 종종 볼 수 있는 단어가 ‘공유형 모기지’다. 주로 공유형 모기지에 대한 설명과 그것이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경제기사는 공유형 모기지가 진정 지향해야 할 바를 담고 있지 않다. ‘공유형 모기지’의 진정한 의미는 이자 없는 세상의 실험이다. 금융기관이 피대출자와 위험을 공유하고 수익을 나눔으로써 현대 금융의 불공정한 속성을 개혁하려는 것이다. 즉, 이자를 기반으로 한 채권자와 채무자의 관계를 이자가 없는 진정한 파트너십으로 변화시킨다.

경제기사가 설명하는 ‘비트코인’은 허점투성이다.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말을 인용해 이 새로운 디지털 화폐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런 경제기사만 읽은 대중은 비트코인을 위험하고 허술한 화폐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이런 경제기사에는 각국 중앙은행의 물타기가 있다. 중앙은행은 자신들의 화폐 시스템에 누수가 생긴 사실을 대중이 눈치채고 대안을 찾는 것을 무서워한다. 그래서 비트코인을 비난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비트코인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몇 년 전부터 경제기사에는 ‘양적 완화’란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세계 각국의 공격적인 ‘돈 찍기’ 통화정책이 계속되고 있는 탓이다. 중앙은행의 무제한 돈 풀기에도 실물경제의 회복은 더디기만 하다. 그럼에도 양적 완화를 고집하는 실제 목적은 자산시장이 오르면 부자가 된 듯한 느낌에 소비가 늘고 투자가 촉진되는 ‘부의 효과’와, 신흥국 투자를 통한 자본이득 실현이다.

이 밖에도 이 책은 진실에 눈을 감고 있는 28가지 경제기사에 의문을 던지고, 그 뒤편의 불편하고 낯선 세상에 한 걸음 다가가고 있다.

윤석천 지음 | 왕의서재

인터넷팀 기자 ilyo@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