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수도건 김원태 기자] 경기도가 복지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위기가구 조사를 벌여 한달 만에 1만5530가구를 발굴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3개월에 걸쳐 발굴한 8409가구를 두 배 가까이 웃도는 수치다.
도는 지난달 초 복지정책의 유연화, 제보 봉사자의 조직화, 제보자 인센티브 부여, 기동순회 상시 발굴 전담팀 운영 등을 골자로 한 복지사각지대 발굴 '신 4대 전략'을 선포하면서 적극적인 위기가정 발굴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와 함께 각 시군에서도 일제조사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 저소득층 찾기 복지위원제도 운영(의정부시), 복지사각지대 발굴 추진단 운영(오산시) 등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발굴시스템을 가동했다.
아울러 통장, 반장, 이장 등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담당한 무한돌보미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언론을 통해 이웃의 제보와 참여를 독려하는 등 입체적인 발굴망이 가동됐다.
이같은 구제 조치로 발굴된 위기가구 중 A씨는 양봉사업 실패 후 홀로 지내다 생계 곤란과 지병까지 겹쳐 막막한 일상을 보냈다. A씨의 딱한 사정은 '무한돌보미'로 위촉돼 활동하던 통장의 제보로 희망을 찾게 됐다.
A씨에게는 3개월 간 긴급 생계비 35만3000원이 지급되고 지원 후에도 기초생활 보장 수급이 지원될 예정이다. 또 지병에 대한 병원 진료와 전세임대 주택, 살림살이 등이 민간 자원과 연계해 지원될 전망이다.
또 중학교 2학년인 B양은 2년 전 알코올중독을 앓던 엄마가 사망하고, 최근엔 아버지마저 직장을 잃고 가출하면서 한 살 아래 동생과 남게 됐다.
그러던 중 가스비와 전기세는 90만 원 가까이 밀렸고 월세도 내지 못해 결국 쫓겨나고 말았다. B양은 언론보도를 통해 알게 된 무한돌봄센터의 문을 두드렸다.
센터는 가스비와 전기세는 긴급복지비로 지원하고 기초생활보장수급자로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청소년쉼터에 임시거처를 마련한 후 전세임대주택도 마련해주기로 했다. 민간단체에서는 아이들의 학원비를 책임지기로 했고, 아버지의 일자리도 찾아주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무한돌보미를 2만5000명으로 확대하는 한편, 한국전력, 삼천리, 남양유업 등 지역 실정에 밝은 민간 자원의 참여를 이끌어 앞으로 더욱 촘촘한 사각지대 발굴망이 가동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도는 일제조사기간 발굴한 위기가정에 20억 원을 우선 지원하고, 발굴에 따라 필요한 추가 예산 42억 원(국비 34억 원)에 대해 중앙 정부에 지원을 건의한 바 있다.
kwt4050@ilyoseoul.co.kr
수도권 김원태 기자 kwt4050@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