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김상곤 ‘웃고’ 부산 오거든 ‘울고’
안철수 대권 실험 ‘지방선거’ 명운 걸려

[일요서울 | 홍준철 기자] 안철수 대권 실험 ‘지방선거’ 명운 걸려6·4지방선거 앞두고 코너에 물렸던 야권 진영이 핵폭탄급 선언을 했다. 정치권의 초미의 관심사였던 기초단위 ‘무공천’을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선언한 데 이어 안철수 새정치연합중앙위원장과 3·1절에 만나 전격적으로 합당을 선언했다. 이는 곧 지방선거전 제3지대에서 신당창당을 통해 집권 여당과 1:1대결을 벌이겠다는 것으로 사실상 야권은 단일 대오를 형성하게 됐다. 야권으로부터 ‘허’를 찔린 새누리당은 당장 ‘자중지란’에 빠질 전망이다. 친이계 비주류인 이재오 의원은 ‘새누리당도 무공천해야 한다’며 친박 주류를 압박했다. 새누리당은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권을 둘러싼 정파 갈등에다 야권발 정계개편 충격으로 선거 구도 자체를 수정할 수밖에 없게 됐다. 한동안 3월1일 삼일절에 시작된 야권발 정계개편의 숨은 그림을 맞춰봤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안철수 새정치연합중앙운영위원장은 2일 6·4 지방선거전 ‘제3지대 신당’을 창당하기로 전격 선언했다.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은 국회 사랑재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양측은 가장 이른 시일내에 새정치를 위한 신당창당으로 통합추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정권교체를 실현하기로 했다”고 깜짝 발표했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전격 통합신당 창당 선언으로 야권지형이 바뀌면서 여야간 양자대결이 형성되게 됐다.
6인회 ‘빅텐트론’ 현실화 ‘친노 축출’?
안 위원장이 3월 신당 창당을 앞두고 전격적으로 이뤄진 제3지대 신당 창당 선언을 두고 정치권은 안 위원장과 김 대표의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특히 안 위원장이 ‘무공천’을 선언했지만 인물 부재라는 혹평이 뒤따랐고 김 대표는 ‘무공천’ 여부를 두고 친노 강경파로부터 ‘책임론’이 제기될 수 있는 가운데 나왔다는 점에서 상호 정치적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는 해석이다.
특히 ‘제3지대 신당창당’이 현실화되면서 친노 진영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친안철수 멤버였던 ‘6인회’(김성식, 김부겸, 정태근, 조정식, 정장선, 김영춘)가 ‘안철수 현상’이 나타나면서 그렸던 그림으로 안철수 새정치 세력과 여야 개혁세력 그리고 시민사회 세력을 아우르는 것으로 이른바 ‘빅텐트론’으로 불리기도 했다.
‘빅텐트론’이 주목받은 배경은 ‘친노 축출하기위한 신당창당 시나리오’라는 의혹을 받으면서 부터다. 각 정파가 탈당을 해 제3지대에서 ‘헤쳐모여’하는 것으로 신당창당 출범준비위에서 선별적으로 친노 인사들을 받아들이면서 자연스럽게 친노 인사들을 배제할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했다. 현재 친노 진영의 대표격인 문재인 의원은 ‘환영한다’는 뜻을 간단히 밝힌 상황이다.
한편 신당 창당이 가시화될 경우 원희룡, 정태근, 홍정욱 등 새누리당 개혁 세력과 함께 안철수-민주당 통합에서 가교역할을 자청했던 국민동행 세력 역시 참여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무엇보다 여당 전현직 정치인이 참여할 경우 집권 여당에 미치는 파장은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당장 친이계 비주류인 이재오 의원은 ‘여당도 무공천해야 한다’고 압박을 넣고 있다.
안철수 측 느긋 민주당 정당해산 결의해야
나아가 안-김 전격적인 신당 창당 선언으로 야권 광역단체장 후보들이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안철수 측으로부터 ‘양보론’에 ‘탈당’ 등 지방선거를 앞두고 은연중에 압박을 받던 박 시장은 양측 합당선언으로 큰 짐을 덜게 됐다. 안 신당과의 ‘갈등’도 민주당 탈당이라는 ‘무리수’도 한방에 날라가면서 서울시장 선거에 올인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차기 대권 불출마를 선언한 박 시장이기에 안 위원장과의 관계는 더할나위 없게 됐다.
‘교육감이냐’, ‘도지사냐’로 고민하던 김상곤 교육감 역시 큰 부담을 덜게 됐다. 어떤 선택을 하던 안 신당측이나 민주당 양쪽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야권 일각에서는 김 교육감이 도지사 출마를 결심할 경우 김진표, 원혜영 민주당 후보보다 인물 경쟁력에서 앞설 것이라는 섣부른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당적’을 고집하던 김부겸 전 의원도 마찬가지다. 만일 안신당, 민주당, 여당 3자 구도로 대구 시장에 나설 경우 야권표가 분열돼 마의 ‘40%대’ 득표가 어려웠던 게 사실이다.
반면 부산에 출마를 준비하던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은 ‘곤혹’스럽게 됐다. 인물 경쟁력에서 민주당 김영춘 전 의원보다 높게 나와 안 신당측의 측면지원과 본선 경쟁력으로 ‘야권통합후보’를 자신했지만 상황이 급변한 상황이다. 일단 무소속 간판을 고집할 수 없게 됐다. 통합신당에 참여할 경우 김 전 의원과 경선을 해야 하고 이긴다고 하더라도 무소속 메리트를 누릴 수 없게 됐다. 새누리당 부산시장 후보들은 통합신당을 ‘도로 민주당’이라고 공격해 오 전 장관을 압박할 공산이 높기 때문이다.
합당선언을 한 양측은 시간이 촉박하게 됐다. 우선 5대5 비율로 창당준비단을 최대한 시일안에 구성할 전망이다. 특히 양측 창준단구성원이 ‘인선작업’에 실무를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막강한 권한을 가질 전망이다. 한 마디로 ‘누군 되고 누군 안된다’는 저승사자와 같은 역할을 담당할 수 있어 향후 신당창당 참여할 구성원에 대한 밑그림도 알 수 있다. 또한 3월안에 창당과 통합을 마쳐야 광역단체장 통합후보를 낼 수 있다.
신당창당전인 안철수 진영은 다소 느긋하지만 민주당은 전당대회를 열어 정당 해산과 제3지대 신당 합류를 결의해야 한다. 이후 제3신당 중앙당 창당대회를 거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하면 야권 통합 작업이 완료된다.
‘인선작업’ 창당준비단은 저승사자?
한편 제3지대 신당 창당 선언에 정치권 이해관계만 존재하고 국민은 안중에 없는 게 아니냐는 비판적인 시각도 나왔다. 안철수 진심캠프에 참여했던 한 인사는 “합의문에서 나타났듯이 2017년 대선 승리를 위한 신당창당이라고 선언했고 안 위원장 역시 새정치가 인재부족으로 신당창당보다 민주당과 합당을 선택한 것이다.
민주당 또한 새정치보다 김 대표와 민주당 생명을 늘리기위한 또 다른 이합집산으로 비쳐질 수 있다”며 “자칫 이후 광역단체장 지분 나눠먹기나 ‘안철수 대권-김한길 당권’ 등 빅딜 논란이 일 경우 국민들을 설득할 논리가 없어지는 것 아니냐”고 우려감도 표출했다.
mariocap@ilyoseoul.co.kr
홍준철 기자 mariocap@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