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정권 ‘기고만장’ 아베정권에 더 단호해야
朴정권 ‘기고만장’ 아베정권에 더 단호해야
  • 박동규 한반도미래전략연구소 대표
  • 입력 2014-02-17 11:02
  • 승인 2014.02.17 11:02
  • 호수 1033
  • 21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사는 진실을 낳고 계승한다”

 

▲ 정의당 초청으로 지난 11일 방한한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총리가 국회에 방문해 심상정 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정대웅 기자> photo@ilyoseoul.co.kr

“제2,제3의 무라야마 출현 할 것”

2월14일은 지금으로부터 104년 전(1910년 2월14일) 중국 하얼빈 역에서 일제국주의 침략전쟁의 상징인물인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의사가 일제에 의해 사형이 언도된 날이다.
지금 우리는 일본 현대 정치사에서 가장 노골적인 역사왜곡과 극단적 극우주의 정권에 의해 자행되고 있는 군국주의 망상의 난동에 직면하고 있다.일본 군국주의 부활과 역사왜곡의 선도적 중심에는 아베총리가 있고, 숨 죽여 왔던 일본의 정객들과 공영방송인 NHK의 회장과 임원들조차도 서슴없이 위안부 왜곡의 대열에 앞장서고 있어 이 광란의 역사왜곡과 군국주의 부활의 몸부림의 끝을 가늠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달라도 너무 다른 전현직 日 총리

안중근의사 사형 언도일을 이틀 앞둔 2월12일 비통하고 울분에 젖어 있는 국민들은 그나마 잠시 한여름 소나기 같은 개운함을 맛본 날이다. 일본의 노정객인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가 방한하여 국회에서 일본 역사왜곡에 대해 따금한 일침을 가했다. 백발의 무라야마 전 총리는 아베정권이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해야 하며 담화를 부인하면 사퇴해야 한다고 까지 말했다. 참으로 용기있는 발언이자 아베정권에게는 눈에 가시 같은 존재가 된 것이다.
아베정권은 한일관계의 정상화를 위해 지난 1993년 일본 고노 요헤이 일 관방장관에 의한 위안부 사과발언을 담은 ‘고노담화’와 1995년 김대중 대통령시절 무라야마 총리가 일제국의 식민지 지배에 대해 공식 사과한 ‘무라야마 담화’에 대해 애써 무시하고 도외시 하고 있다.역대 일본 정권은 한일관계 정상화의 상징으로 이 두 개의 담화를 계승하는 입장이었고 아베정권 역시 계승한다고 말한바 있다.
무라야마 전 총리의 방한과 용기있는 발언은 이런 점에서 아베정권의 부당성과 군국주의 부활을 꿈꾸는 현 집권세력과 극우세력들에게는 참기 힘든 내부의 적일 것이다. 당연히 우리는 무라야마의 현직 때나 퇴임 후의 초지일관하는 노정객의 발언을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무라야마의 국회 강연 당일 약속이나 한 듯이 내노라하는 우리의 정치인들이 대거 모였고, 참으로 오랜만에 대일규탄의 한목소리도 냈다. 환영은 당연지사로 보이지만, 경쟁적인 사진찍기와 지나치다할 정도의 환대분위기였다는 일부의 지적도 있었다. 그래도 살아있는 일 노정객의 최소한의 양심의 목소리를 키우고 이를 전 세계에 알려 일본의 반성과 과거청산을 촉구하는 계기로 활용해야 함도 마땅하기에 크게 탓할 바는 아니다.
문제는 아베정권의 역사왜곡과 군사대국화를 통한 군국주의로의 거침없는 독주를 어떻게 막아낼 것이며, 세계적 비판여론을 환기시킬 것인 가이다.박근혜 정부는 나름 아직까지는 아베정권에 대해 차분하지만 냉담하게 대응하는 듯 하다.그러나 일본의 독선적인 광란의 행보에 비춰볼 때 뭔가 많이 미흡하고 너무 차분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특히, 무라야마 전 총리 강연당시 집권여당 정치인들도 참석하여 대일규탄을 했지만, 현 집권세력은 최근 국내 교학사의 편향되고 왜곡된 역사교과서 채택에 열을 올려온 점을 떠 올리면,무라야마를 환대하기 전에 자신들이 밀어부친 잘못된 역사교과서부터 당당하게 폐기처분해야 함이 더 설득력 있어 보일 것이다.
아베정권의 ‘광란의 역사왜곡 질주’를 부추키는 일본내 요인이 또하나 생겼다. 최근 치러진 도쿄지사 선거에서 아베의 전폭적 지원을 받은 ‘마스조에’ 라는 후보가 압승을 거둬, 아베에 대한 중간평가는 사실상 아베 지지로 결론 났다. 더구나 젊은층의 우경화가 심각하다는 선거결과도 나왔다.
일본의 현재 20~30대는 과거 일본의 침략사를 잘 모른다.더구나 아베정권은 독도영유권을 교과서에 공식 게재하기도 하는 등 영토침탈과 역사왜곡의 폭주는 끝을 모를 지경이다. 이런 교육을 받고 자란 일본 젊은 세대들의 역사관도 참으로 걱정이다.
최근 아베정권의 역사왜곡과 군국주의화에 대해 중국의 대응은 확실히 통 큰 행보였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역사적 사료 발굴 공개와 하얼빈 안중근의사 기념관 개관등 가장 큰 피해를 본 우리보다 어쩌면 ‘실천적 행동과 액션플랜’은 더 확실해 보이기도 했다.

역사왜곡 대응 교육도 강화해야

아베정권의 역사왜곡 열차의 폭주를 점잖게 꾸짖고 규탄만하는 것으로는 ‘광란의 열차’를 멈추게 할 수는 없을 것 같다.물론, 북핵문제와 동북아 안보를 둘러싼 한.일간 협력체계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대륙 지향적이고 침략주의적 DNA’를 금과옥조로 부둥켜안고 세계평화를 깨고 반인류적 범죄행위를 감싸고 도는 아베정권의 폭주앞에 좀더 과감하고 치밀하게 대응할 때이다.
현 정권이 우선 가장 앞장서야 한다.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대일본 역사왜곡과 제국주의 침탈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홍보하고 외교전을 펼쳐야 한다. 무라야마 전 총리처럼 일본 내에도 양심적 시민단체와 인사들이 있기에 이들과의 연대활동을 더욱 강화하고 지원해야 한다.아울러, 일본의 젊은세대가 왜곡된 역사교과서로 자신들의 조상의 잘못을 잘 모르듯이 우리의 젊은 세대들에 대한 보다 강화된 역사교육,체험학습의 프로그램을 정부차원에서 추진해야 한다.남북관계 진전과 상관없이 ‘對日 역사왜곡 공동대응’을 남북이 함께 모색도 해나아가야 한다.
우리도 동북아 역사재단과 같은 전문적인 對日 역사연구기관이 있고, 독립기념관에는 수많은 일제침략사와 사례에 대한 방대한 자료와 전시관들이 너무도 잘 돼있다. 군사정권 시절의 강제적으로 동원된 역사교육이 아니라, 교육기관 스스로가 찾아가는 역사체험과 일제의 만행에 대한 역사바로알기를 교육과정에 다양하게 반영하여 추진 할 필요도 있다.
우리는 지난 2월12일 달라도 너무 다른 일본의 정객을 우린 같은 날 동시에 목도했다. 무라야마가 우리 국회에서 일본정권의 각성을 촉구한 날 아베총리는 일본 의회에서 “군위안부 문제 제기는 비방중상”이라며 목청을 높였다.‘역사는 진실을 낳고 계승한다’는 진리를 아베가 깨닫는 날,우리는 제2,제3의 무라야마를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런때 최근 경기도 교육청이 발렌타이 데이인 2월14일을 안중근의사 사형언도일임을 기억하자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는 뉴스는 아베정권의 검은 야욕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 지금 참으로 신선하다. 역사를 잊지말아야 함을 일깨우기…

박동규 한반도미래전략연구소 대표 ilyo@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