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조아라 기자]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6일 오전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전 11시30분 정권 출범 1년을 맞아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직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은 7년 4개월 만이다. 앞선 2006년 8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가 참배한 바 있다.
이날 참배는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를 요구해온 보수층을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도쿄 재판의 A급 전범이 합사돼 있는 야스쿠니 신사에 일본 총리나 각료가 참배하는 것에 대한 한국과 중국는 그동안 강력한 반대해왔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냉각된 한·중과의 관계가 한층 더 냉랭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지난 제1차 아베 내각 당시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지 않은 것에 대해 "통한의 극한이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관련해 우리 정부는 "개탄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성명을 통해“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은 그의 잘못된 역사인식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유 장관은 이어 고이소 쿠니야키 등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된 일본의 전범을 언급하며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은 한일 관계는 물론 동북아시아의 안정과 협력을 근본부터 훼손시키는 시대착오적 행위”라고 꼬집었다.
이어 “아베 총리가 소위 적극적 평화주의라는 이름 아래 국제사회에 기여하겠다고 하나, 과연 이러한 잘못된 역사관을 갖고 평화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 역시 담화문을 통해 즉각적인 비난에 나섰다.
이날 중신사(中新社)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 친강(秦剛) 대변인은 담화문을 통해 "중국 정부는 일본 지도자가 중국과 다른 아시아 국가 전쟁 피해국 인민의 감정을 잔인하게 짓밟고, 역사적인 정의와 인간 양심에 대해 공공연한 도전을 한 것에 대해 강력한 불만을 표시하며 일본 측에 강력하게 항의한다"고 전했다.
친 대변인은 "14명의 2차세계 대전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는 침략 전쟁을 일으킨 일본 군국주의 상징으로, 일본 지도자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것은 침략 역사를 미화하고, 국제사회가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정의적인 심판을 전복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 "2차세계 대전의 승리 성과와 국제질서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면서 일본 지도자의 역사적 전도 행위는 아시아 이웃국과 국제사회가 일본에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우려하고 경계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이 역사를 거울을 삼는다는 이념으로 진실로 침략 역사를 반성해야 아시아 주변국과 미래 지향적인 관계를 확립할 수 있고, 일본이 침략 반성 약속을 지키고, 잘못을 바로 잡아야 하며 실제 행동으로 아시아 주변국과 국제사회 신뢰를 받게 위해 노력하기를 재차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chocho621@ilyoseoul.co.kr
조아라 기자 chocho621@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