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수도권 김대운 기자] 성남시(시장 이재명)의 내년 예산이 2조2310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 예산 금액은 전국 기초자치단체로서는 창원시 다음으로 큰 규모다.
성남시의회는 지난 20일 본회의를 열고 시에서 제출한 예산안에서 176억1000만 원을 삭감한 후 최종 의결했다.
내념도 예산은 올해보다 1088억 원(5.1%)이 증가한 것으로 일반회계는 6.2%가 증가한 1조4484억 원, 특별회계는 3.2%로 증가한 7826억 원이다.
분야별로는 복지예산이 5220억 원(36.0%)으로 가장 많고, 수송 및 교통 1282억 원(8.9%), 문화 및 관광 1122억 원(7.8%), 국토 및 지역개발 1072억 원(7.4%), 교육 706억 원(4.9%) 순이다.
이 가운데 복지예산은 전체의 36.0%를 차지해 민선 5기 취임 당시인 2010년도(3222억 원) 보다 62.0% 상승한 4105억 원이다.
정부의 복지정책 확대와 도비 보조금 축소로 재정 부담이 가중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일자리 창출과 영유아 보육, 노인·장애인 등 사회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에 확대 투입했다.
세부적으로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지원 565억 원, 무상보육 1353억 원, 기초노령연금 800억 원, 어르신 일자리창출 사업 47억 원, 어르신 소일거리 사업 34억 원, 이매동 국공립 어린이집 등 6개소 건립 77억 원, 판교종합사회복지관 건립 57억 원, 판교노인복지시설 건립 56억 원 등이다.
교육분야 역시 2010년도보다 20.4%(120억 원)이 증가했으며 성남형 교육지원사업 172억 원, 교육환경 개선 사업비 115억 원 등을 반영했다.
그 외 주요사업으로는 의료원 건립 공사비 205억 원, 심곡 집단취락지구 등 7개소 공사비 130억 원, 시민프로축구단 운영비 70억 원, 상원도서관 등 4개소 건립비 105억 원, 분당~수서간 고속화도로 소음저감시설 설치비 150억 원, 공동주택 리모델링 지원 기금 100억 원, 동원동 일반산업단지 조성비 95억 원, 성남동 모란장 주차장 부지매입비 56억 원 등을 편성됐다.
시민이 제안한 사업 328건도 포함돼 향기나는 도서관 만들기, 대형국기게양대 설치 등에 655억 원을 반영했다.
성남시는 재정건전화 원년인 내년도에도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재정운영에 중점을 두고 행정운영경비 등 경상비 절감과 불요불급한 예산의 절감운영을 통해 낭비요인을 최소화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dwk0123@ilyoseoul.co.kr
수도권 김대운 기자 dwk0123@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