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ㅣ홍준철 기자] [본지]가 ‘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 날아온 사연’의 제하로 보도한 연쇄 기획취재물인 1탄 ‘박정희 대통령 기념산업단지를 許(허)해주세요’와 2탄 ‘황교안 법무-탄자니아 대사 상대 손배소’ 이후 정부와 민간 중개업체이자 NGO단체인 ARF(회장 최인철, 아프리카퓨처포럼) 간 공방이 국가적 손실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탄자니아 고위 외교 사절단이 한 달 간격으로 한국을 방문했지만 정작 국가적 이익을 볼 수 있는 고위급 인사 방문에 대해 주탄자니아 대사가 ‘중개업체를 못 믿겠다’는 이유로 비자 발급을 거부하면서 수출에 차질을 빚을 공산이 높아졌다. 특히 중개업체와 주탄자니아 주재 대사와 소송까지 벌이고 있는 상황으로 자칫 외교적 망신살까지 뻗칠 수 있어 외교가에 적잖은 파문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 탄자니아 대사관 측, “ARF 중개업체 못 믿겠다”
- ARF측 “대사가 도와주지 못할망정…X판만 친다”

중개업체 vs 한국대사 갈등 대사 그르치나
또 다른 비공식 사절단은 12월 8일 국내에 한 대기업 초청 형식으로 국내에 들어와 국내 핵심 기간시설을 시찰하고 돌아갔다. 특히 비공식 행사는 한국 경제 발전에 적잖은 몫을 차지하고 있는 수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사절단이었다. 하지만 두 행사 모두 외교부와 중개업체 간 엇박자를 낳으면서 경제적 이득으로 이어질지에 벌써부터 회의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 두 행사를 공식적 비공식적으로 준비한 단체가 바로 탄자니아 경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ARF(회장 최인철)이지만 정작 주 탄자니아 대사관과의 불화가 양국 무역업에까지 영향을 주면서 관계자들을 안타깝게 만들고 있다.
본지가 1탄과 2탄에 걸쳐 밝혔듯이 ARF는 탄자니아 정부의 후원으로 민간 합작법인인 TEC(대표 김헌수)를 설립해 탕가 지역에 한국기업전용산업단지(일명 박정희 대통령 기념산업단지) 개발을 추진해 지난 6월 21일 성황리에 기공식을 마쳤다. 하지만 이 산업단지는 주탄자니아 대사 측과 사사건건 충돌하면서 사업 진행에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ARF 측에서는 지난 8월 5일 수원지법에 대한민국 정부(법률 대리인 황교안 법무부 장관)와 주탄자니아 대사에게 각각 3000만 원 상당의 손해배상 소송을 접수시켰다. 요지는 외교부와 정일 주탄자니아 대사가 허위 사실을 유포해 ARF 측의 신용과 사업 진행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자칫 소송이 국가 간 외교적 마찰의 우려가 나오면서 ARF 측은 정부와의 소송은 취하한 상황이다. 하지만 정일 대사 관련 민사소송은 현재 진행형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ARF가 공식 후원했던 탄자니아 경찰사절단의 국내 시찰 역시 이런저런 문제가 발생했다. ARF 측 한 인사는 12월 19일 [일요서울]과의 통화에서 “당초 ARF가 초청해 일정을 잡으려 했지만 주탄자니아 대사 측이 부정적으로 나와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봉사단체를 통해 고위 인사를 초청했다”며 “그것도 비행기 타기 하루 전날 승인을 해줘 일주일간 탄자니아 고위 간부들을 최 회장과 내 개인 인맥을 활용해 일정을 잡고 시찰을 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특히 그는 “한국을 방문한 탄자니아 경찰 수뇌부는 국내를 떠나면서 200억 원 상당의 한국 경찰 장비 구매 의사를 밝혔다”면서 “현재 보고서를 작성해 정부에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고 전했다. ARF 측과 주탄자니아 대사 측과의 갈등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대통령 조카 입국 거부 “중개업체 재정상황 때문”
탄자니아 고위 정부 인사가 2차로 12월 8일 국내에 방문했을 때 갈등은 절정에 치달았다. 특히 비공식적 일정으로 진행된 2차 사절단은 국내산 제품에 대한 수입 규모가 1차 때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훨씬 규모가 커 경제적으로 막대한 이득을 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이에 ARF 측에서는 탄자니아 대통령 조카인 조지 퀴젱가를 초청해 사절단의 무게감을 더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문제는 주탄자니아 대사관 측에서 중개업체인 ARF와 대통령 조카에 대한 비자발급에 모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ARF 측 관계자는 “대통령 조카가 전권을 갖고 있는데 핵심 인사에 대해 외교부가 비자발급을 거부해 황당했다”면서 “이미 조지는 한국에 두 차례나 방문한 바 있어 더 당혹스러웠다”고 밝혔다.
비자 발급 거부 이유로 주탄자니아 대사 측에서는 자료 보안 요청을 계속 요구했고 보완을 하면 중계업체의 재정 열악 상태를 들었다. 결국 ARF 측은 주최자를 H 대기업으로 바꾸고 대통령 조카를 제외한 10여 명의 고위 인사에 대해서만 초청하는 것으로 사절단 방문이 가능했다. 이 고위 사절단은 국내에 일주일간 체류하면서 국내 핵심 시설을 시찰하고 자국으로 돌아갔지만 중요 인사가 빠짐으로써 김 빠진 방문이 될 수밖에 없었다. 지난번과 같은 고위 경찰 사절단의 국내산 물품에 대한 구매 의사는 없었다.
ARF 측은 “외교부가 대통령 조카에 대한 황당한 비자 발급 거부 이유로 우리는 민주당 중진 의원인 L 의원에게까지 부탁했지만 그것도 소용이 없었다”면서 “국회의원이 부탁해도 외교부에서는 ‘부정적이다’는 반응만 내놓고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질 않았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 중동·아프리카 담당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외교부의 고충을 토로하면서도 역시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진 않았다.
외교부 관계자는 대통령 조카 비자발급 거부 배경과 관련해 “ARF 중개업체에 대해서 탄자니아 현지 대사관 측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기 때문에 비자발급을 거부했다”면서 “외교부로서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견지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CNK 악령 외교부, ‘복지안동’ 팽배?
또한 이 인사는 “아프리카에서 활동하는 무역 중개업체가 한둘이 아니다. 외교부 산하의 대사관뿐만 아니라 코트라, 국정원 등 다양한 루트를 통해 중개업체에 대한 평판 조사를 하는데 방한 초청 측인 ARF에 대해선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 인사는 “정부 입장에서는 신중하게 접근할 수밖에 없었다”며 이해해 달라는 말만 되풀이했다. 하지만 ARF 단체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국내에서 이뤄졌는지에 대해서 외교부는 “홈페이지만 봤다”, “현지에서 충분히 한다”는 등 자세하게 알아보지는 못했다는 점은 시인했다.
이에 대해 해외 중개업에 종사하는 한 인사는 “외교부가 지난해 해외 자원외교 업체인 CNK 주가조작 사건으로 검찰로부터 압수수색을 받는 등 한바탕 망신을 당한 바 있어 해외 사업에 대해선 신중하고 조심하는 배경이 됐다”면서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그냐’는 말처럼 국가적 이해관계가 얽힌 사안인 만큼 무조건 거부하기보다 다방면으로 알아보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충고를 보냈다.
mariocap@ilyoseoul.co.kr
홍준철 기자 mariocap@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