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경북 김기원 기자] 경북도가 도청이전 비리 후폭풍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경북도청 이전 비리와 관련해 칠곡부군수가 구속된 데 이어 당시 심의교수들에게도 구속영장이 청구됨에 따라 또 다른 비리 관련자가 나오지 않을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이다.
특히 경북도지사의 경우 내년 선거를 앞두고 후보 공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며 사태추이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문제는 도청이전 관련 심사위원이 공무원 8명, 대학교수 7명 등 모두 15명이나 돼 어디로 불똥이 튈지 예측하기 힘들다는 데 있다.
비리혐의 교수가 소속한 대학의 한 관계자는 “외부에서 싸잡아 비리대학으로 매도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다시는 이런 불미스런 일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도청발 비리가 경북도를 넘어 지역대학으로까지 확산되자 시민단체를 비롯, 지역주민들도 허탈한 표정이다.
서울 북부지검 형사 6부는 경북도청 신청사 건립과 관련해 시공사인 대우건설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대구경북지역 대학교수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들 교수는 경북대와 영남대교수로 신도청 건설사 선정과정에 심의위원으로 참여, 후보 업체였던 대우건설 측에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10만 유로와 5만 유로를 각각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한화로 환산하면 8000만 원에서 1억5000만 원에 이른다.
이처럼 거액의 뇌물이 오갔던 사실이 속속 드러남에 따라 도민들사이에서 개탄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우석 전 칠곡부군수가 받은 뇌물액수가 5억2000만 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을 때 놀랐던 시민들이 이번에 수뢰혐의를 받고있는 교수들이 받은 뇌물 액수 역시 억대가 넘자 아예 허탈감에 빠졌다.
대구시민 김모(52·달서구 내당동)씨는 “비리가 있어서는 안되지만 받은 액수가 억대를 넘는다니 정말 허탈하다. 서민이 평생 구경하기도 힘든 돈을 뇌물로 받아 챙겼다니 일할 맛이 안난다”고 개탄했다.
지역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신도시 이전과 관련, 주민의 혈세를 받아 공무원과 심사위원등에 뇌물을 준 형국이 됐다”며 “이번에 일벌백계로 다스려 다시는 이런일이 반복되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kw53@ilyoseoul.co.kr
경북 김기원 기자 kkw53@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