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경북 김기원 기자] 경북동남권 경북도청 제2청사 신설이 내년 지방선거 핵심 이슈로 등장할 전망이다.
내년 지방선거 경북도지사 출마를 밝힌 권오을 전 국회의원은 26일 포항시청에서 “경북도청 이전과 함께 동남권 제2청사 개청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권 전 의원은 “안동으로 경북도청을 옮길 경우 포항과 영덕, 경주 등 동남권 지역은 도청까지 최소 2시간 30분 이상 걸려 상당한 불편이 예상된다”며 “정책기획업무를 제외한 각종 민원은 현장에서 이뤄져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고 강조했다.
권 전 의원은 이어 “경북보다 면적인 적은 경기도가 이미 제2청사 시대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모델이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할 수밖에 없는 동남권 주민들의 민원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경북 역시 동남권 제2청사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 전 의원은 “제2청사는 조직만 구성하면 되는 일로 예산이 많이 들지 않기 때문에 특별히 어려운 점도 없다”며 “지역 균형적발전 및 동남권 주민들의 상대적 소외감 해소를 위해 정책적 결정만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또한 영일만항의 동북아 물류중심항으로 발전 방안도 제시했다.
권 전 의원은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방한으로 극동지역 개발사업이 구체화하고 있어 영일만항의 교역중심항으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권 전의원은 현재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관계가 정상화되면 북산의 나진, 선봉, 원산항 직항로를 개설하고 러시아, 일본을 연결하는 물류중심항만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세계는 지금 해양크루즈시대를 향해 발전해 가고 있어 영일만항이 러시아와 일본, 북한간 크르즈선 취항을 준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경북도와 포항시 등 기관이든, 민간차원에서든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권 전 의원은 이와 함께 “현재 김관용 지사가 재임동안 도청 이전, 4대강 사업을 결단하고 성사시킨 열정을 존경한다”며 “하지만 김 지사의 역할은 여기까지이고 이제부터는 경북의 새로운 미래를 위해 젊은 후배들에게 따뜻한 눈길을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 전 의원은 “대구 경북은 그동안 5명의 대통령을 배출했지만 박정희 대통령 때를 제외하고 먹거리를 마련하는데 실패했다. 이는 지역의 지도자들이 무조건 순응만하고 지역발전을 외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정치권을 향해 싸울 때는 싸우고 쓴소리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kkw53@ilyoseoul.co.kr
경북 김기원 기자 kkw53@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