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김종현 기자] 상주시가 경북도청 산하기관 중 이전지가 확정되지 않은 경북도 농업기술원을 유치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상주시는 최근 상주 이전을 위한 대외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유치전략을 세우는 한편 분야별 실무지원단을 구성했다. 또 지역 산업계와 상공인, 정치인, 교육계, 각급 단체와의 연계도 강화하고 있다.
시는 농업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고 경북대 상주캠퍼스를 비롯해 경북잠사곤충사업소, 경북도 감 시험장 등 관련 연구 인력이 풍부하다는 강점을 내세워 농기원이 이전하면 농업 기술력 발전에 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상주는 경북 지역 최대 농업도시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매우 크다. 쌀, 배, 오이 곶감, 양봉, 육계, 한우 등 7가지의 농·특산물이 도내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이미 ‘대한민국 농업의 수도 상주’를 특허청에 상표등록까지 마친 상태다. 또 편리한 교통망도 갖추고 있어 경북도내는 1시간에, 수도권은 1시간 30분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시는 각 광역자치단체의 농기원이 도청 소재지보다는 농업도시에 설립돼 있다는 점과 도청 신도시 이전 용지보다 저렴한 사벌면 일원에 농업기술원 용지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정하록 상주 슬로시티 주민협의회 위원장은 “도청은 안동·예천에, 농업기술원은 상주로 분리 이전하는 것은 경북 북부지역의 균형 발전과 도민 갈등을 극소화하기 위한 최적의 조치”라고 주장했다.
todida@ilyoseoul.co.kr
김종현 기자 todida@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