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의 사주 구성은 임철초 선생의 사주로 자평명리학은 ①일간과 ②월지와의 관계를 일차적으로 중요시하여 구성된다. 또한 ②-1 과 같이 지장간의 천간이 연간, 월간, 시간에 투출한 것을 사주의 특징적인 격식이나 성격을 의미하는 격국이라 한다. 보통 격국용신(格局用神)이라고 부르는 것인데 보통 격은 월령 지장간이나 지장간이 투출된 것을 격으로 삼는다. 그러나 임철초 선생같이 일간이 양간인 병화이면서 월령이 ②오화(午火)인 겁재나, 음간의 비견 및 겁재는 격을 달리하여 양인격, 건록격, 월겁격 등으로 분류하여 격국과 격국용신이 다르다.
『자평진전』에서는 상생의 원칙을 위주로 순용(順用)하는 식신격, 재성격, 정관격, 인성격과 제극하는 상극을 위주로 역용(逆用)하는 칠살격, 상관격, 비견과 겁재격, 양인격 등으로 분류하여 518,400가지나 되는 사주명조의 경우의 수를 8가지의 십성별로 분류해 놓았다. 격은 평생에 걸쳐서 사주를 지배하는 선천적인 기질과 후천적으로 사주 주인공이 사회적 활동 방향을 예고하는 인생의 나침반이다.
여기서 비견격과 겁재격은 건록격과 월겁격으로 부른다. 격국은 월간지 용신을 십성별로 분류해 놓은 형식적인 틀이며 용신은 일간 입장에서 생극제화의 대상으로 일간에게 있어서 기능적인 면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격국과 용신은 한가지이다. 다시 말하면 격국이 곧 용신이다. 이것을 통칭하여 격국용신이라 부른다. 다만 건록격과 월겁격 및 양인격은 월령이 일간과 동일한 오행이고 일간과는 경쟁자의 관계로 보아 용신을 잡을 수 없어 천간에 투출한 정관, 칠살, 식신, 상관, 재성 등의 월령을 설기하거나 제거하는 것으로 용신을 설정한다. 즉, 격국과 용신이 다른 것이다.
결국 격국용신은 월의 지장간에 의해서 정해지기 때문에 지장간의 선행공부는 필수적이다. 한편 격국용신은 일간의 신강·신약을 위주로 선택하는 일간지용신(日干之用神)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일간지 용신은 일간과 월지와의 관계를 위주로 사주전체의 기세를 분석하여 일간의 강약을 선택해서 중화(中和)의 원칙에 의해 용신을 선정하여 저울과 같은 균형점을 잡아 운에 대입해 보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용신 잡는 법이 매우 어려워 “용신찾아 삼만리”라고 전문가라도 종종 틀리게 용신을 찾다 보니 가는 곳마다 사주감정 해석이 다르게 나오는 것이다.
여기에 반해 격국용신은 기본적인 매뉴얼이 정해져 있어 쉽게 격국과 용신을 찾는다. 1. 월령 자체인 지장간 본기 2. 월령 지장간 가운데 투간된 것 3. 월령이 신자진 같은 삼합이나 자진과 같은 반합과 같이 회국(會局)을 이룬 것 4. 예외 조항으로 건록격, 양인격과 같이 월령을 극제하거나 설기하는 것을 격국과 용신으로 선정한다.
임철초 선생의 사주는 오월의 병화(丙火)로 양간(陽干)인 병화가 월지가 겁재이니 이런 경우를 양인격(羊刃格)이라 부른다. 일간을 지지에 대조하여, 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은 지지를 녹(祿)이라고 하고, 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지지를 양인(羊刃) 또는 인(刃)이라고 한다. 예컨대 일간이 甲일 때 천간에 甲이 있으면 비견, 천간에 乙이 있으면 겁재, 지지에 寅이 있으면 祿, 卯가 지지에 있으면 양인이 된다.
그런데 양인은 5양간에만 있다. 甲의 양인은 卯, 丙의 양인은 午, 戊의 양인은 午, 庚의 양인은 酉, 壬의 양인은 子이다. 명리학에서는 특히 양인을 양인격이라고 하여 특별히 취급하고 있다. 그러나 乙, 丁, 己, 辛, 癸의 5음간은 양인이 없다. 5음간이 지지에 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지지를 만나면 겁재라고 할 뿐이지 양인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육친상 같은 겁재이나 천간의 겁재와 달리 지지의 겁재를 양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소중한 재물이나 아버지 및 아내를 극하는 정도가 겁재보다 월등히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인격인 경우는 다른 격국은 칠살이 있을 경우는 반드시 제복함이 좋고 재성이나 인성으로 돕는 것을 기피하나 양인격은 오히려 칠살을 돕는 재성이나 인성이 좋고 칠살을 극하는 것을 꺼린다. 임철초 선생은 바로 양인격의 운명을 가지고 태어났다.
류동학 원장 프로필

△혜명동양학아카데미 원장(현) △대전대 철학과 외래교수(현)
△전 안동정보대학 교수 △고려대 한국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대전대 철학과 박사과정 △단국대 법학과 졸업
△혜명동양학아카데미 (http://cafe.daum.net/hyemyeong)
전화 : 053-246-8426 휴대전화 : 010-2666-8472
이메일 : donghak88@hanmail.net
류동학 원장 ily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