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사를 마치고 나온 김 의원은 취재진에 "생각보다 질문의 양이 많고 강도 높은 조사를 했다"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다시 한번 "개인적으로 대화록을 본 적은 없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대선 당시 유세에서 한 NLL(서해북방한계선) 관련 발언의 근거에 대해서는 "하루에 수십건 정도 보고서와 정보지가 난무했는데 찌라시 형태로 대화록 문건이 들어왔다. 그 내용이 정문헌 의원이 얘기한 것과 각종 언론 및 블로그 등에 나와 있는 발표 등과 내용이 같았기 때문에 대화록 일부라 판단하고 연설했다"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그 구체적 출처에 대해서는 시기가 오래돼 밝힐 수 없다면서 "일종의 그런(증권가 정보지) 것인데, 내용을 파악해서 보고서 형태로 온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 의원은 이어 "문건 일부가 수록된 것이고 국정원에서 대화록 전문을 공개했을 때 내용을 파악했더니 훨씬 더 쇼킹한 내용이 있었다. 전문을 봤다면 더 넣어서 연설했을 것"이라며 회의록 사전 열람·유출 의혹을 부인했다.
mariocap@ilyoseoul.co.kr
홍준철 기자 mariocap@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