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경북 김기원 기자]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위원장 김태환 의원)는 28일 대구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대구지역 사회 전반의 팽배한 `안전 불감증`과 대구시의 인사 비리에 대해 질타가 이어졌다.
새누리당 황영철(강원 홍천·횡성군) 의원은 지난 9월 경찰관 2명이 사망하는 등 15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남구 대명동 가스폭발사고와 관련해 “대구시내 LP가스 판매업소는 총 309곳이며 대구시의 2013년 가스안전추진계획을 보면 매년 3회씩 점검하게 돼 있다.
올해 상반기 구군 안전점검을 보면 동구와 달서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점검한 것으로 되어 있다”며 “하지만, 폭발사고 후 대구시의 특별점검에서 위반업소 58곳이 적발된 것으로 나타나 안전점검이 이뤄졌지만 형식적인 단속에 그쳐 대형참사를 불렀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진선미(비례대표) 의원은 대구지하철 스크린도어 설치율이 전국 최하위인 점을 꼬집었다.
진 의원은 “대구는 지하철 2개 노선에 59개역이 있지만 시민 안전에 가장 효과가 큰 스크린 도어가 10개소에만 설치돼 있어 전국에서 가장 낮은 설치율(16.9%)을 보이고 있다”면서 “신천역에서 2011년에 한차례 사고가 발생한데 이어 올해도 한차례 사망사고가 있었다. 사고가 있었던 지역은 시민 안전을 생각해서라도 국비지원을 운운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시비를 들여서라도 시급하게 설치해야 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전국 지하철 가운데 서울 지하철(289개)과 대전 지하철(22개)은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됐고, 광주·부산·인천 등은 41.4~57.9%의 설치율을 기록하고 있다.
새누리당 윤재옥(대구 달서 을) 의원은 “대구는 불이나 폭발사고 등 대형사고가 나서 시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 대구는 `화재진압차량 진입 불통지역`이 3곳, `진입곤란 지역`이 100곳 등 총 103곳이 화재진압 차량 장애지역이고 비상소화장치함을 비치도 미비해 화재 및 응급상황 발생시 즉각 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또 윤 의원은 “2011년~2013년 7월 대구시 공무원 징계현황 중 음주운전으로 징계를 받은 건수가 2011년 27건 중 11건(38%), 2012년 27건 중 22건(81%), 2013년 7월 26건중 14건(54%)으로 각각 나타났다”면서 “공직자들의 음주운전 비율이 높은 것은 공직기강 및 안전불감증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대구시의 인사비리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 유대운(서울 강북을) 의원은 “대구 국립과학관 채용 비리에 대구시 공무원 2명, 가족 3명 등 20명이 관련돼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과학관은 국립시설인데 비리가 가능하다면 산하기관 채용비리는 더욱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감사 결과에 대해 서면 답변을 달라”고 요구했다.
민주당 김현(비례) 의원은 “패션산업연구원, 과학관 모두 비위사실이 적발되는 등 비위가 끊이지 않고 있고 오페라재단과 대구문화재단 등 문화기관장 추천에도 시장이 입김으로 좌우된다는 여론이 높다”고 지적하고 “산하공기업 임직원에 공무원으로 채워지는 등은 지역에 견제세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kkw53@ilyoseoul.co.kr
경북 김기원 기자 kkw53@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