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Ⅰ오두환 기자] 전국 50개 구치·교도소 중 19개를 제외한 31개 구치·교도소에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 수감 중인 재소자 사망자가 110명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망자수는 한 시민연대가 법무부에 정보자료공개를 요청한 결과에서 밝혀졌다.
특히 2009년 이래 서울구치소가 11명으로 가장 많았고 2011년 27명에 비해 2012년 3명 늘어난 30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각 구치소와 교도소별로 2009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사망자는 서울구치소 11명, 수원구치소 9명, 대구교도소 9명, 부산교도소 6명, 부산구치소 6명, 경북북부 제1교도소 6명, 대구구치소 5명, 순천교도소 5명, 군산교도소 5명, 대전교도소 5명, 청주교도소 4명, 광주교도소 4명, 영등포 교도소 3명, 의정부 교도소 3명, 홍성 교도소 3명, 서울남부 구치소 3명, 성동 구치소 3명, 전주 교도소 2명, 진주 교도소 2명, 목포 교도소 2명, 인천 구치소 2명, 창원 교도소 1명, 청주여자 교도소 1명, 공주 교도소 1명, 춘천 교도소 1명, 강릉 교도소 1명, 천안 교도소 1명, 논산지소 1명, 안양 교도소 1명, 통영 구치소 1명, 여주 교도소 1명 등 총 110명의 재소자가 수감 중 사망했다.
그러나 자살에 따른 사망자는 밝혀지지 않았고 안동교도소 등 19개 구치·교도소에서는 단 한건의 사망자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연대 관계자는 “그동안 국정감사에서 사인(자살, 질병)에 대해 지적한 사례가 있었지만 교정시설별로 사망자수를 공개한 사례는 최초다.
법무부는 자살이 절반을 차지한다고 하는데 자살방지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며 나머지 사인(주로 질병)에 대한 대책도 마련되지 않고 있는 점이 문제다. 아울러 단 1명이라도 인권침해에 따른 사망자가 없는지 상시적으로 외부감시가 가능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오두환 기자 freeore@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