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고동석 기자] 전두환 전 대통령이 7년간 내놓기를 거부했던 훈장 9개를 검찰이 비자금 수사에 착수하기 직전인 지난달 8일 국가에 모두 반납한 것으로 알려졌다.
훈장을 반납한 시점은 검찰이 전 전 대통령 일가와 측근들의 재산을 압류하고 강도 높게 수사를 벌이던 때였다.
민주당 김현 의원실이 지난 22일 안전행정부로부터 제출받아 확인한 내용에 따르면 전 전 대통령이 소유하고 있었던 훈장은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비롯해 모두 9개였다.
건국훈장은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한 공로자에게만 주는 훈장으로 그간 김구 선생이나 유관순·안중근 열사 등 독립운동가들에게 수여했다.
그럼에도 전 전 대통령은 건국훈장을 비롯해 최고 영예로 국가 유공자에게 주어지는 훈장 대부분을 12·12 군사반란 사건 이후부터 대통령 재임 시절에 받은 것들로 거의 무작위로 자신에게 서훈을 수여했던 것.
노태우 전 대통령은 전 전 대통령보다 더 많은 11개의 훈장을 갖고 있다. 정부는 2005년 개정된 상훈법 등에 따라 2006년 3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두 전 대통령의 서훈을 모두 취소했다.
이는 12·12 군사반란과 5·18 광주민주화운동 무력 진압의 주동자로 대법원에서 실형 판결을 받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정부가 두 차례에 걸쳐 공문을 발송하고 세 차례 자택 방문 등 환수 절차를 진행했으나 두 전직 대통령은 묵묵부답이었다.
김현 의원은 “불법적으로 얻은 수많은 재산뿐만 아니라 명예까지도 포기하지 않으려는 것”이라며 “하루빨리 자진 반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행부 역시 “강제적인 (환수) 조치에는 한계가 있지만 전 전 대통령의 환수 사례 등을 고려해 조속한 환수가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kds@ilyoseoul.co.kr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