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도산서원 '금송' 40년만에 쫓겨나다
안동 도산서원 '금송' 40년만에 쫓겨나다
  • 경북 김기원 기자
  • 입력 2013-08-15 10:48
  • 승인 2013.08.15 10: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경북 김기원 기자박정희 전 대통령이 식재했는지를 놓고 논란이 분분 했던 안동 도산서원 내 금송(松)이 40년 만에 매표소 밖으로 쫓겨나게 됐다.

경북 안동시는 최근 세계유산 등재와 사적 보존·관리를 위한 도산서원 종합정비계획을 확정한 가운데 문화재청 최종 보고회를 통해 `금송이 자연경관을 저해하기 때문에 서원 밖으로 옮긴다`고 밝혔다.

문화재제자리찾기운동 사무총장인 혜문 스님의 문제 제기로 논란이 된 금송은 박 전 대통령이 1970년 12월 도산서원성역화사업 준공을 기념코자 청와대에서 옮겨 심었다. 그러나 이 금송은 2년 만에 말라 죽었고, 당시 안동군이 같은 수종을 비밀리에 식재했다.

금송 식재와 함께 세워진 당시 표지석에는 `박 전 대통령이 아끼던 나무로 손수 옮겨 심었다`고 표기돼 있었지만, 혜문 스님의 문제 제기로 지난 2011년 `같은 수종을 다시 식재했다`는 내용을 추가해서 표지석을 교체했다.

지난 2007년 이전까지 발행됐던 1000원 권 지폐 뒷면에도 등장한 금송은 우리나라 화폐에 일본 소나무가 그려져 있는 것이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을 받으면서 신권에서 자취를 감췄다.

이 문제의 금송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지 않는 낙우송과로 일본 왕실과 사무라이 정신을 상징하는 일본 특산종이다.

안동시 세계유산담당은 “문화재청에서 내년에 예산을 확보해 금송 이전 작업을 추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kkw53@ilyoseoul.co.kr

경북 김기원 기자 kkw53@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