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1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1
  • 류동학 원장
  • 입력 2013-07-08 11:15
  • 승인 2013.07.08 11:15
  • 호수 1001
  • 45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혜명 류동학의 동양학산책 24

고대 중국의 사상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이론이 음양오행설이다. 원래 음양과 오행은 각기 다른 시대적인 배경과 환경속에서 발전해오다가 전국시대(기원전 403~기원전 221)말기 강태공이 건국한 산동반도의 제나라의 위왕(威王:재위 기원전 378~ 343년)과 선왕(宣王: 재위 기원전 342~324년)이 수도 임치(현 산동성 치박시)의 서문인 직문(稷門) 밖에 학당을 세우고 천하의 학자들을 초빙해 학문을 강론한 직하학사의 추연과 같은 음양가들에 의해서 음양과 오행이 합쳐지면서 음양오행설이 성립 됐다.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변화무쌍한 자연계를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이 음양오행설이다.

음양에서 ‘음(陰)’은 어두울 암(闇)과 통하여 어둡다는 뜻으로, 문을 닫아 어둡게 하다의 뜻을 나타낸다. 물의 그늘진 곳의 남쪽(水之南)과 산의 북쪽 그늘진 곳(山之北也)으로 언덕(부,阜)을 따라 만들어졌고, 음(陰)으로 발음한다고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언급하고 있다. 불교에서는 암(闇)을 번뇌에 비유하고 지혜를 등명(燈明)에 비유해, 지혜의 광명이 번뇌의 어둠을 깨뜨려 진리의 경지에 들었다는 뜻으로 암실(闇室)이라는 표현을 쓴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양(陽)’은 고명(高明)의 뜻이다. 언덕을 뜻하는 ‘부(阜)’를 따라 만들어졌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양(陽)’에 대해 ‘양(陽)은 열림이다. ‘日(일)’,‘一(일)’,’勿(물)’을 따라 만들어져 ‘개(開)’의 의미라고 했다.

‘음양’이라는 두 글자가 연용될 때는 항상 남쪽과 북쪽, 혹은 표면과 이면의 의미를 나타내게 됐다. 어떤 강의 북쪽변에 있으면 양(陽), 남쪽 변에 위치하면 음(陰)을 붙인다. 한양(漢陽)이라는 지명의 뜻은 한수(漢水)의 북쪽 기슭에 있는 도시라는 뜻이다. 음과 양은 대체적으로 햇빛과 관련이 있는 명칭이었다. 음은 햇빛을 가려 어두운 상태를 말하고 양은 햇빛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글자다. 이와 같이 ‘음’과 ‘양’으로 독립적으로 시작한 음·양은 음양으로 결합하여 밤낮의 변화, 계절의 주기, 시간의 변화과정을 의미하게 됐고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모든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자리잡게 된다.

자평명리학에서 음(陰)과 양(陽)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사람의 운명을 간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중요한 이론은 음양의 조화를 보는 중화이론(中和理論)이다. 사주팔자에 음양이 조화로운 것이 원만한 성격과 가치관을 형성하게 된다. 음양의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면 ‘음팔통사주’와 ‘양팔통사주’라 하여 대체적으로 극단적인 성격을 가질 확률이 높다. 나의 동생의 사주가 이런 경우인데 음력 1968년 10월23일 오시생으로 사주명조가 무신년 갑자월 병진일 갑오시생이다.


위의 사주와 같이 연월일시가 모두 갑·병·무·경·임의 양간(陽干)과 신·자·진·오의 양지(陽支)로만 이루어진 있는 사주를 양팔통사주라 한다. 행동파의 인물로 속전속결의 기질이 강하다. 항상 차분한 자세가 필요하다.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 이 표어는 국정원의 전신인 안기부가 쓰던 부훈이었다. 음양의 조화를 드러낸 용어로 남이 인정하거나 보이지 않게 묵묵히 일하면서 양지의 세계를 밝히겠다는 의미인 것으로 보인다.
한때는 음지에서 음적으로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행동을 많이해 지탄받았는데, 이제는 헌정사상 처음으로 국정조사가 실시되어 음지에서 일하는 국가기관이 양지에 완전노출돼 온 국민의 관심사로 대두됐다. 이런 일련의 과정도 결론은 음양의 변화의 과정일 뿐이다.
국정원의 모토인 '자유와 진리를 향한 무명의 헌신'이라는 국정원의 원훈에 맞게 국정원이 환골탈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류동학 원장 프로필

△혜명동양학아카데미 원장(현) △대전대 철학과 외래교수(현) 
△전 안동정보대학 교수 △고려대 한국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대전대 철학과 박사과정 △단국대 법학과 졸업 
전화 : 053-246-8426 휴대전화 : 010-2666-8472 

 

류동학 원장 ilyo@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