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전북 고봉석 기자] 전라북도는 지난 20일 도내 어르신들의 치매 걱정 없는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치매예방사업에 적극 나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의 치매유병률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2년 치매추정환자는 국내에 54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중 전북은 2만7000명으로 전체 노인의 9.18%로 조사 되고 있다.
치매는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 가정에도 부담이 큰 질환이나 조기에 발견해 치료·관리하면 진행 속도가 지연되는 만큼 조기 치료 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전북도에서는 전국에서 서울에 이어 두번째로 2011년 전라북도치매관리센터를 설치, 치매예방관리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치매관련기관 1188개소를 통해 치매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또한 42억85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치매무료조기검진 및 치매치료관리비(약제비 월3만 원 실비) 지원, 음악요법·원예요법·미술요법·운동요법 등 다양한 재활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주요성과로는 치매조기검진의 경우 지난해 11만8000명을 실시했으며 치매환자 등록관리는 현재 2만4000명으로 등록률 87.7% (2012년 전국 평균 40.2%)로 매년 전국 1위를 달성하고 있다. 중증환자의 입원치료를 위한 요양병원은 인구 10만 명당 16.03개소(전국평균 12.33)로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 입소 이용이 원활하도록 지역사회 자원이 확보되어 있다.
전북도는 치매관리센터와 함께 도민의 치매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를 강화해 치매예방-조기발견-지속적 치료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치매관리와 치매환자 발견 및 등록관리를 강화하고 검진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치매검진 협약병원을 34개소에서 36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치매 검진율 제고와 치매예방 홍보를 위해 간호학과 등 보건복지 전공 대학생으로 구성한 치매전문자원봉사자 및 보건직공무원 퇴직자를 활용한 실버서포터즈를 발굴·운영할 예정이다.
전북도의 한 관계자는 “오는 7월부터는 장기요양 3등급 인정기준(53점→51점)이 완화됨에 따라 치매환자와 가족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도내 보건소 및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함께 치매 걱정 없는 건강한 전북 만들기에 온 힘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ilyo@ilyoseoul.co.kr
전북 고봉석 기자 ily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