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 국가 백년대계(百年大計)라는 사실에 동의 못할 사람이 없다. 국가 교육이 잘못 돌아가면 나라 근간이 무너지게 된다. 때문에 교육의 중요성은 언제 어디서 누가 말해도 잔소리나 식상한 소리가 될 수 없다. ‘일요서울’ 999호가 발행된 오늘 2013년 6월 24일, 이 땅에 6.25 남침전쟁이 발발한지 꼭 63년째를 채우는 날이다.
휴전을 협정하고는 60년 되는 동안 우리는 ‘반공’을 국시(國是)의 제1위로 삼고 투철한 반공 교육을 실행 했었다. 적어도 군사정권 때까지는 반공 이데올로기가 국가안보(정권안보)를 위한 대의(大義)였다. 5공 전두환 정권이 서슬 퍼럴 때 일어난 통일민주당 유성환 국회의원의 “통일을 국시로 해야한다”는 이른바 ‘통일 국시’ 발언 파장은 국회의원의 회기 중 발언에 대한 면책특권 조항이 무시된 채 유 의원을 감옥에 집어넣고 의원직까지 날려버렸다. 한마디로 반공이 헌법 위에 군림하는 세월이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민주화를 이룩해 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는 무서운 복병을 맞아야 했다. 민주투사로 포장하고 있던 좌경세력이 백주에 모습을 드러내기에 이르러 맹렬한 이념 갈등이 일어나고, 급기야 삼척동자도 얼게 만든 국가보안법이 있으나 마나 한 지경이 돼버렸다. 그마저 철폐하라는 좌파의 요구가 거세다. 어른사회의 갖가지 남남갈등은 또 그렇다 쳐도 감수성 예민한 우리 아이들이 교육현장에서 전교조 교사들의 볼모가 되고 있는 현실에 있어서는 생각 있는 사람이면 더 두고 볼 수 없다는 판단이 안 설수 없다.
얼마 전 뉴스를 보니 우리 고교생 열 명 중 일곱 명 정도가 6.25전쟁을 ‘북침’으로 알고 있다는 기막힌 내용이 있었다. 또 수업 때 북침이라고 들었는데 북침이라는 용어가 ‘북한의 침략’ 준말로 북한이 먼저 왔다는 것으로 이해하는 학생들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 교육의 잘못만이 아니라 국어 교육에도 이같이 엄청난 문제가 도사려 있었던 바다.
현행 한국사 교과서는 6개종이 있다. 모두 6.25한국전쟁을 남침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교실수업에서의 교과서 기술내용은 한낱 우익 진영의 강변으로 주입되는 상황이 아닌지 모르겠다. 기성세대가 경제성장만을 목표로 앞만 보고 달려오다 기어코 이런 위험천만한 대한민국을 만들고 말았다. 신선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을 몰랐다는 자책과 한탄이 없을 수 없다.
2년 전이었는가, 인천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김정일 어록을 자신이 담임 맡은 학급 급훈으로 내걸어 종북 선동 혐의로 적발된 사실이 있다. 몇 달 전에는 전교조 소속 교사 4명이 이적단체 결성 혐의로 기소되는 사건도 일어났다. 박근혜 대통령이 이번 북침 관련 보도와 관련해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이 가져야할 기본가치와 애국심을 흔들고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치신 분들의 희생을 왜곡시키는 것으로서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한데 대한 일부 언론의 ‘과잉반응’ 지적은 절대 옳지 않다. 박 대통령은 교육현장의 한국사 왜곡을 오래전부터 우려했던 터다.
학교가 진보와 보수간 격돌의 장이 되고 있는 현실에서 제대로 된 역사교육이 이루어질리 만무하다. 어떻게 하든지 교육계만큼은 이념에 물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역사교육을 등한시하는 나라가 옳은 미래를 열 수 없다. 비뚤어진 역사 인식으로는 된 가정교육조차 어렵고, 자신의 사회생활마저 정상이 될 수 없다.
고재구 회장 ily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