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경북 김기원 기자] 내년 지방선거 공천 등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차기 새누리당 시·도당위원장 선임을 앞둔 대구 정치권에 ‘서상기 학습효과’가 쟁점으로 급부상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관련 정치인들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대구지역 정가 일각에서 새누리당 대구시장 후보 경선에 출마할 의사가 있는 사람이 시당위원장을 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시당위원장을 맡으면 새누리당 시장, 구청장, 군수 후보 등 인재 영입에 발벗고 나서야 하는데, 따라서 본인이 출마할 의사가 있다면 그런 노력이 제대로 이뤄지겠느냐는 설명이다.
게다가 이번에도 시당위원장이 대구시장 후보 출마설을 모락모락 피워올리다가 막판에 불출마를 선언하게 될 경우, 새누리당 대구 정치권 전체가 ‘경선 불공정 관리 집단’이란 오명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지역정가 일각에서는 현역 광역단체장이 엄청난 ‘현직 프리미엄’을 갖고 경선을 준비할 수 있는 데 반해, 국회의원 등 시장후보 도전자는 ‘무기’가 제대로 없는 만큼 시·도당위원장 등의 직을 맡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아울러 당·정 관계에 있어서 협력과 함께 견제도 꼭 필요한 만큼 출마를 염두에 둔 시당위원장과 시장 간의 긴장관계가 시정을 제대로 진단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 대구시당위원장 자리를 놓고 현 위원장인 주호영 의원(수성을·3선)과 조원진 의원(달서병·재선)으로 압축되고 있다.
주 의원은 대구시장 불출마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으며, 의원들의 의사가 모아지면 시당위원장을 연임할 수 있다는 입장인 가운데 조 의원은 새누리당 대구시장 후보로 나설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으며, 선수(選數)·나이 등을 기준으로 한 기존 관행에 따르면 시당위원장 우선권을 갖고 있다.
지역의 한 의원은 “통상적으로 추대 형식으로 선출해 온 시당위원장이 지난 지방선거 전에는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됐다”며 “의견이 분분한 만큼 이번에도 상황이 어떻게 될지 좀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kkw53@ilyoseoul.co.kr
경북 김기원 기자 kkw53@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