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당선 후 가진 첫 기자간담회에서 "6월국회는 을(乙)의 눈물을 닦는 국회로 정하겠다.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입법에 중점을 두겠다"며 경제민주화법안 통과에 굳은 의지를 내치쳤다.
그는 "원내 합의사항인 4가지 경제민주화 법안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 대규모 유통업에서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FIU법(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등 개정안을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노동과 임금 의제를 국민생활 의제로 다루겠다. 저임금 저소득에 시달리는 국민의 아픔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민주당 신뢰 회복의 근간이 될 것"이라며 "야당이 무엇인가를 성취하는 것은 어렵지만 의석수를 채우는 것은 국민과 여론의 힘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에 대해선 대립각을 분명히 했다.
전 원내대표는 "이번에 원내대표 경선을 야당 경선 바로 뒷시간에 꼬리물기로 연 것은 시쳇말로 상도의에 어긋난다. 정치도의적으로 잘못된 일"이라며 "꼬리물기 일정은 저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여지를 조금이라도 안 주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받아들였다"고 했다.
이날 함께 치러진 새누리당 원내대표 선거에 앞서 이주영·최경환 의원을 언급하며 "어느 분이 당선돼도 대화와 협상이 가능한 분"이라며 "누가 되든 국민이 걱정하지 않도록 국민 상식에서 벗어나지 않길 바란다. 국회가 순조롭게 운영되도록 관계를 맺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새누리당과 정부와 청와대가 국민 상식에서 벗어나면 민주당은 결기와 기백을 갖고 견제하겠지만 정부 여당이 국민 상식과 눈높이에 맞으면 깔끔하게 협력하겠다"며 "되는 것은 되고 안 되는 것은 안 되는 분명한 모습을 보이겠다. 협상은 치열하고 치밀하게 하겠다"고 원내 방침을 언급했다.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무소속 안철수 의원을 향해선 "당 밖에서는 약간의 경쟁관계가 형성될지 모르지만 원내에서는 협력적 동반자관계"라는 점을 애써 언급했다.
그러면서 "안 의원의 정체성은 정책 과제나 입법활동 면에서 민주당과 방향과 가치, 내용이 같을 수밖에 없다"며 "안 의원이 가진 생각과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선 민주당의 협력과 지원 없이는 추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협력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 민주당에서 하고자하는 중요한 과제에 대해서는 안 의원께 협력을 요청해 공동보조로 의제를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또 윤창중 스캔들과 관련해선 "이 문제는 단순히 청와대의 문제가 아니라 국격·국익과 연결되는 문제이므로 민주당은 이 문제를 정략적으로 이용할 생각이 없다"며 "윤창중 스캔들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하게 전모를 밝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빠른시간 내에 밝혀서 국격 국익의 손상이 길어지지 않게 해야 한다"며 "전모가 어느 정도 밝혀졌는지 양상에 따라서 문책을 요구하거나 추가 조사를 요구해도 늦지 않다"고 지적했다.
원내지도부 인선 방향에 대해선 "60년 민주당사 최대위기다. 당내 많은 분의 의견을 들어서 원내지도부가 당의 모든 목소리를 듣는 총화적이고 총력의 구심체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야한다"고 덧붙였다.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