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유업 떡값 진실 “관행이냐 비자금이냐”
남양유업 떡값 진실 “관행이냐 비자금이냐”
  • 유수정 기자
  • 입력 2013-05-14 09:16
  • 승인 2013.05.14 09:16
  • 호수 993
  • 28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유수정 기자] 최근 ‘막말파문’으로 홍역을 겪은 남양유업이 떡값 명목으로 수천만 원에 달하는 금품을 챙긴 영업사원의 횡포에 대해 공식적으로 시인했다.

지난 2월 25일자 본지 982호 취재와 관련해 [일요서울]이 입수했던 정승훈 남양유업 피해자협의회 총무의 통장 입출금 내역서와 호소문 등에 따르면 정 총무는 2012년 2월 8일부터 같은 해 6월 7일까지 총 650만 원을 지점장 퇴직 위로금으로 입금했다. 이는 권모 지점 파트장이 서부지점장 퇴임에 따른 위로금을 강요한 것으로, 편법을 사용해 마감금액에서 700만 원 가량을 공제한 것이다.

정 총무는 [일요서울]과의 인터뷰에서 “통장으로 입금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로 일반적으로는 흔적이 남지 않도록 현금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지난 7일 공개된 녹취록에 따르면 수도권 서부지역을 담당했던 한 영업사원은 대리점 주로부터 금품을 수수 받은 사실을 순순히 인정했다. 그는 뒷돈 일부가 회사에 상납된 사실까지 털어놨다.

이처럼 본사의 횡포를 담은 증거가 속속들이 드러나자 남양유업 측은 지난 9일 기자회견을 열어 “정확한 금액에 대해서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떡값을 받은 것에 대해서는 사실로 파악하고 있다”고 시인했다. 또 논란의 시초였던 밀어내기식 제품 강매에 대해서는 공동목표 수립제와 반송 시스템을 도입해 원천 금지하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남양유업의 대국민 사과에도 불구하고 피해자협의회 측은 눈 가리기 식의 형식적인 사과였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또 성춘일 변호사 역시 지난 9일 열린 ‘경제민주화 입법 점검 간담회’에서 “여론의 압박에 밀리고 매출에 타격을 입으니까 어쩔 수 없이 사과 한 것”이라며 부정적인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기자회견에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이 참석하지 않은 것 또한 비난의 목소리를 피해가기 어려웠다. 이에 대해 남양유업 측은 “회장은 회사의 대주주를 통상적으로 부르는 호칭일 뿐이며 회사 업무와 관련된 모든 의사 결정은 김 사장이 하고 있다”고 해명했지만 여론의 뭇매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파문으로 남양유업의 주가가 급락해 시가 총액 1200억 가량이 날아간 것은 물론 주당 100만 원 이상인 종목의 ‘황제주’ 자리 역시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홍 회장이 최근 남양유업 주가가 하락하기 전후로 주식을 팔아 70억 원 상당을 챙긴 것으로 드러나 도덕성 논란에 휘말리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홍 회장은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7일까지 6583주를 처분했으며 지난 9일에는 추가로 269주를 매각했다.

crystal07@ilyoseoul.co.kr

유수정 기자 crystal07@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