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전자파, 이동 중 평균 5배·밀폐공간 평균 7배 증가
휴대전화 전자파, 이동 중 평균 5배·밀폐공간 평균 7배 증가
  • 고은별 기자
  • 입력 2013-04-24 16:29
  • 승인 2013.04.24 1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고은별 기자]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걱정된다면 통화 연결시에는 휴대전화를 멀리 떼고, 지하철 속 같은 이동 중이나 엘리베이터와 같은 밀폐공간에서의 통화는 자제해야 한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박석순 원장)은 국내에 시판되는 휴대전화 7종의 사용 환경에 따른 전자파 발생현황 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일상생활 전자파 노출 영향 및 저감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2011년 9월부터 1년간 생활환경에서 방출되는 휴대전화 전자파의 실태를 조사, 노출 저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 결과,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대기’ 중 0.03〜0.14V/m, ‘통화 연결‘ 중 0.11〜0.27V/m, ’통화’ 중 0.08〜0.24V/m로 나타나 ‘통화 연결’ 중에 전자파 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휴대폰 전자파로부터 받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전화를 받기 전까지 휴대전화를 귀에서 가급적 멀리 떨어뜨리는 것이 좋다.

또한 지하철과 같이 빠른 속도로 이동 중인 상태(0.10〜1.06 V/m)에서 통화할 경우, 정지 상태(0.05〜0.16 V/m)보다 평균 5배가량 전자파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동하면서 통화하면 가장 가까운 기지국을 수시로 검색해 기기 출력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밀폐된 장소(0.15〜5.01 V/m)에서 통화할 경우에는 개방된 공간(0.08〜0.86 V/m)보다 평균 7배가량 전자파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휴대전화 등과 같은 무선통신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는 낮은 수준이라도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인체에 영향을 미쳐 해로울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과학원은 환경부와 함께 ‘일상생활 전자파 노출 저감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오는 7월 배포할 계획이다.

가이드라인은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생활환경정보센터 홈페이지 등에 공개할 예정이다.

eb8110@ilyoseoul.co.kr

고은별 기자 eb8110@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