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기운인 천간은 목-화-토-금-수로 쉬지 않고 운행한다. 봄의 에너지인 갑목(甲木)과 을목(乙木)이 여름의 에너지인 병화(丙火)와 정화(丁火)를 생하고 다시 무토(戊土)와 기토(己土)의 조절을 받아 금화교역(金火交易)이 이뤄진다.
한편 병화와 정화의 여름의 화의 기운은 가을의 경금(庚金)과 신금(辛金)의 작용으로 인하여, 한랭한 겨울의 기운인 임수(壬水)와 계수(癸水)에 이르면 압축된 상태로 새로운 개체로서의 탄생을 준비한다.
수(水)라는 것은 봄·여름·가을의 계절을 지나 수집된 모든 지식이나 정보를 분석하고 정리하는 시기인 겨울이 되며 이렇게 만들어진 정보를 새로운 개체로서의 탄생을 위해 관리하고 통일시키는 작용을 한다. 생일이 임(壬), 계(癸)의 수로 태어나면 지혜로운 인물이 많아 학자나 문인, 판사 및 상술이 뛰어난 사업가로 많이 진출한다.
이러한 수는 천간으로는 병화(丙火)와 정화(丁火)와 지지의 사화(巳火,뱀),오화(午火·말), 인목(寅木·범) 등과 술토(戌土·개), 미토(未土·양) 등의 건조한 조토(燥土)가 있어야 생명의 씨앗으로서의 존재가치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물은 정화작용을 하는 목의 작용을 근본으로 해 화의 존재 유무에 따라 청탁(淸濁)이 구분된다.
임진년 계축월 임신일 경자시생인 강준용 소설가의 사주는 금기운과 수기운이 강하나 아쉽게도 목기운과 화기운이 사주에서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심각한 현실의 아픔을 야기할 수 있는 요소이다. 다행히 초년에는 갑인(甲寅)대운이라, 의식주를 해결하고 창의력과 호기심을 자극해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 식신대운(食神大運, 일간인 임수 입장에서 갑목을 사주용어상 식신이라 칭함)으로 운이 흘러 좋았다.
을묘 대운은 상관 대운으로 상관(傷官)이라는 십성(十星)은 감수성이 예민하고 직관력이 강하며 시시비비를 명확히 하는 것을 선호하는 요소이자 구속감을 싫어하는 육친(六親)이다. 따라서 16세 이후 10년 간 전개되는 이 기간에 제도권에 회의감이 들어 이탈의 마음이 강하다. 특히 1970년 18세 때는 삶의 근원적인 문제의식에 접근해 공부의 중단수가 있을 암시가 강하다. 1970년 경술년부터 1971년 신해년, 1972년 임자년, 1973년 계축년까지 세상사에 대한 호기심이 발동해 다양한 인생경험을 할 가능성이 농후했다.
그러나 10년 마다 오는 대운이 26세 이후로 병진대운으로 화기가 강해 유리하게 전개돼 극단 집시의 멤버로 희곡을 발표하기 시작하면서 「날개」, 「개의 행복」, 「한 잎의 진실」, 「무인도」 등의 작품들이 계속해서 무대에 올려졌다. 아쉽게도 습한 기운인 진토(辰土·용)운으로 접어드는 30대 초반은 매우 힘든 고비를 경험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도 미혼으로 배우자와 자식이 없고 책과 그릇 몇 개가 전 재산인 채로 살아가고 있듯이, 그 당시 이런 생활이 본격화 된 것으로 보인다. “작가는 오로지 작품으로 말할 뿐”임을 글쓰기로 보여주고 있는 구도자와 같은 현재의 모습은 이때 본격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86년 병인년(丙寅年)은 하늘의 기운인 태양을 상징하는 병화(丙火)가 드러나고, 땅의 기운인 지지로는 장작에 해당하는 인목(寅木)을 깔고 있으니, 금수로만 가득한 이 사주에서 다행히 천간과 지지가 목·화(木·火)로 운세가 전개됐다. 이 해에 월간문학 신인상 가작 당선작인 단편소설 『철석골의 막장』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면서 순수문학을 추구하는 소설가 강준용이 새롭게 탄생한 것이다. 이후 1988년 무진년에 월간문학 신인상을 수상한 단편소설 『하얀궁전』이 세상에 나왔고, 이후 약 90편의 작품이 발표됐다.
2007년에는 물질 지상주의인 자본주의 삶의 현장에서 갈등하는 인간의 고뇌를 보여주면서 한국사회의 문제점을 던진 작품인 「숭선에서」를 비롯해 「핸드폰 핸드폰」, 「호떡 굽는 날」, 「하일 히틀러」등의 10개의 작품이 실린 소설집이 출간됐다. 앞으로 2014년 갑오년에 강준용 소설가에게 휴머니즘의 인간냄새 나는 일이 벌어 질것으로 예상해본다.

류동학 원장 프로필
△혜명동양학아카데미 원장(현) △대전대 철학과 외래교수(현)
△전 안동정보대학 교수 △고려대 한국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대전대 철학과 박사과정 △단국대 법학과 졸업
전화 : 053-246-8426 휴대전화 : 010-2666-8472
이메일 : donghak88@hanmail.net
류동학 원장 donghak8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