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층 성접대 담당 수사 책임자 전원 교체
고위층 성접대 담당 수사 책임자 전원 교체
  • 조아라 기자
  • 입력 2013-04-19 11:33
  • 승인 2013.04.19 11: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고위층 성 접대'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지난달 31일 오후 성접대 사건이 벌어졌던 현장으로 알려진 강원 원주시에 위치한 윤모씨의 별장을 압수수색 후 압색한 물품들이 담긴 박스와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들고 나오는 모습.<사진=뉴시스>

[일요서울|조아라 기자] 경찰이 ‘고위층 성접대’ 사건을 담당했던 수사 책임자를 전원 교체했다.

경찰청은 지난 18일 총경 인사에서 성접대 수사 실무 책임자인 이명교 특수수사과장을 국회경비대장으로 발령했다. 후임자는 김청수 전 서울 수서경찰서 형사과장이 임명됐다.
 
최초 성접대 동영상 확보에 의욕적이었던 범죄정보과 실무 책임자도 교체됐다. 반기수 범죄정보과장은 경남 성남 수정경찰서장으로 인사 이동됐고, 그 후임으로 남구준 경남 마산 동부서장이 발령됐다.
 
수사 마무리 전에 경찰 수사 라인의 정점에 있는 경찰청 수사국장부터 실무 책임자까지 모두 교체돼 일각에서는 ‘윗선’의 불편한 심기가 반영된 인사라는 해석이 제기됐다.
 
앞서 경찰은 치안감과 경무관 인사에서 수사 계통을 지휘하는 수사국장과 수사기획관을 모두 교체한 바 있다.
 
경찰 안팎에서는 최근 단행된 인사를 놓고 정권의 의중이 반영된 문책성 인사라며 뒷말이 무성하다. 
 
경찰은 수사 초기 성접대 동영상 확보에 의욕을 보이며 검찰 수뇌부를 겨눴고 결국 법무부 차관의 사퇴로 이어졌다. 
 
하지만 경찰은 최근까지 진행된 수사에서 별다른 결과물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성접대 동영상 속 인물의 신원 파악 실패와 핵심 피의자인 건설업자 A(52)씨도 소환하지 못한 상태다. 
 
또 내사 단계에서 정부 고위 관료의 실명이 언론에 유출돼 정부의 눈총을 샀다는 후문이다.
 
정부가 인사를 통해 경찰대 출신들의 세를 위축시키려 한다는 시각도 있다. 이번 인사에서 경찰대 출신은 모두 배재됐다.
 
정부 한 관계자는 “경찰대 출신들이 똘똘 뭉쳐 주요 보직을 독점하고 정부 내에서 잡음을 일으키는 데 대한 비판 여론이 높다”며 “이런 인식들이 경찰 인사에 반영된 것 아니겠느냐”고 설명했다.
 
 
chocho621@ilyoseoul.co.kr

조아라 기자 chocho621@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