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수도권 김장중 기자] 경기도 평택시의 ‘평택상수원보호구역’에 대한 68억 원의 강변여과수 조사연구 용역이 지역민 반발로 멈춰섰다.
9일 평택시와 안성시에 따르면 수질 개선을 위해 국토부로부터 68억 원을 지원받아 평택시 유천동 소재 상수원보호구역내에서 강변여과수 조사연구를 올해부터 2016년 6월까지 실시할 예정이다.
연구조사팀은 올 1월 연구에 착수, 상수원보호구역 하류 1.5km 지점 2개소와 정수장 주변 3개소에서 조사활동을 벌여왔다. 앞서 이번 조사연구를 위해 지난해 12월 평택시와 안성시, ㈜팬아시아워터 등 4개 기관은 수변지역 대용량 간접취수(강변여과수) 시공기술 선진화 연구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그러나 유천동 주민들은 “주민들과 사전협의 없이 실시된 이번 조사가 안성시의 단계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계획에 의한 용역”이라며 “상수원보호구역 축소 또는 해제는 평택호 수질 악화로 농업용수 사용이 불가능 하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 때문에 연구용역 조사는 착수한지 2달만인 3월 초 중단됐다. 이에 평택시가 뒤늦게 지난달 27일부터 토론회와 주민설명회 등을 열고 “상수원보호지역 해제가 아니라 수질개선을 위한 조사”라고 해명에 나서고 있지만, 주민들의 반대는 계속되고 있다.
지역민들은 “강변여과수 취수방식 조사는 동의하지만,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또는 축소를 위한 연구용역이란 의심은 가시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강변여과수 취수방식(수질 개선) 조사지점을 5개소에서 3개소로 축소하는데 주민과 합의를 이뤘다”면서 “지금 연구조사 용역이 중단되면, 다음에 조사를 실시할 때 비용을 시가 부담하게 된다”며 주민협조를 당부했다.
kjj@ilyoseoul.co.kr
수도권 김장중 기자 kjj@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