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고은별 기자] 올해 1분기 ELS(주가연계증권) 발행금액이 전 분기에 비해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ELS 발행금액은 전 분기보다 28.1% 증가한 12조9874억 원을 기록했다.
저금리가 계속되는 환경 속에서 실물상환, 킹크랩 ELS 등 손실을 최소화하고 투자자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ELS가 출시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킹크랩ELS란 조기상환조건에 있어 상단, 하단에 각각 조기상환 및 손실한계 조건을 설정한 ELS다.
올해 1분기 ELS 발행을 살펴보면 월 평균 4조 원 넘게 발행됐다. 지난해 1분기 ELS 발행금액이 13조1384억 원으로 집계됐으나 3분기(10조2613억 원), 4분기(10조1329억 원)동안 감소 추세를 보이다 올해 1분기 들어 전년 동기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발행 형태별로는 공모발행이 4조7796억 원(37%), 사모발행이 8조2078억 원(63%)을 차지했다. 투자자의 요구에 맞춰 설계하는 사모 ELS 발행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원금보전형태별 ELS 발행액을 보면 원금비보전형이 9조4413억 원(73%), 전액보전형은 3조5333억 원(27%)을 각각 차지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리스크를 감수하더라도 높은 수익률을 제시하는 ELS를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기초자산별 발행실적을 살펴보면 투자자 입장에서 정보파악이 용이한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가 전체발행금액의 84.8%를 차지했다. 개별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는 11.7%였다.
ELS 상환액은 14조2083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6.9% 증가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조기상환이 크게 증가해 전체 상환액 대비 87.4%를 차지했다. 이는 최근 수년래 발행된 ELS의 조기상환 조건이 투자자에게 유리하도록 설계된 데 기인한다.
고은별 기자 eb8110@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