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달성공원 이전 대표적인 밀실행정 도마에 올라
대구시, 달성공원 이전 대표적인 밀실행정 도마에 올라
  • 김기원 기자
  • 입력 2013-04-03 17:19
  • 승인 2013.04.03 17: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경북 김기원 기자] 대구시가 달성공원 이전사업과 관련 이미 지난해 민간사업자와 사업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대구시는 이같은 MOU체결 사실을 최근까지 숨긴 것으로 밝혀져,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달성공원 동물원 이전문제를 두고 대구시 수성구와 달성군이 유치 경쟁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이동희 대구시의회 의원은 3일 대구시가 달성토성 복원사업과 연계, 함께 추진 중인 달성공원 동물원 이전사업을 위해 이미 지난해 민간사업자와 신규 동물원 건립을 위한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하고도 이 사실을 공식발표하지 않고 숨겨왔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같은 제보를 받고 직접 조사한 결과, 지난해 11월 20일 4개사로 이루어진 민간의 공동투자자와 동물원 건립을 위한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MOU를 체결한 건설사의 웹사이트에는 대구시와의 협약체결(MOU) 사실을 홍보 게시판에 버젓이 올려놓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이에 “대구시 담당부서에 항의하자 그제서야 사실을 실토했다”며 “의회조차 속이겠다는 생각을 한 것은 지방의회의 존재자체를 거부하는 것이고, 시민대표 기관인 의회의 권위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다”라고 대구시의 밀실행정에 대해 강한 유감의 뜻을 밝혔다.

대구시는 이전대상지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MOU 체결사실을 발표하면, 분위기가 지나치게 과열돼 유치희망 지역간 갈등이 유발되거나 대상지의 토지시세가 급상승하게 될 것을 예상,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입장이다.

특히 ”민간사업자와 협약 건에 대해 비밀로 하기로 했고, 협약서에도 그런 문구를 넣었기 때문에 의회에도 밝힐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의원은 “대구시가 민간업자와 투자금액까지 명시한 MOU를 체결을 한 후에 동물원 이전 대상지로 가장 적합한 지역을 선정하겠다며 대구경북연구원에 ‘입지선정 및 타당성연구용역’을 의뢰한 것은 결국 용역결과를 입맛에 맞게 짜 맞추겠다는 의도가 아니냐”며 비판했다.

이 의원은 대구시의 해명에 대해 “수익창출의 전문가인 민간투자자들이 입지조차 선정되지 않은 사업에 금액까지 결정해서 대구시와 협약을 체결했다는 것을 믿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면서 “이 협약서에는 업무상 취득한 상호간 비밀사항과 정보에 대한 공개가 금지되었을 뿐, 협약자체를 비밀로 하자는 조항은 전혀 없을 뿐더러, 오히려 민간사업자 측은 불과 며칠 전까지 자사의 홈페이지에 대구시와의 MOU체결 사실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었다”고 비난했다.

실제, 민간사업자 측의 홈페이지에는 최근까지 ‘대구 사파리파크(가칭) 조성사업 양해각서 체결’이라는 제목의 홍보 문건을 게시해 놓았고, 이 의원이 대구시에 이러한 사실을 알리며 항의하자 해당 글을 삭제했다.

이 의원은 “4차순환도로의 범안로 구간 건설사업을 비롯해 지금까지 대구시가 추진한 민자사업 중 성공사례는 단 한건도 없는 상황에서 민간업자와 이러한 밀실협약을 맺었다는 것은 특정지역이나 민간업자에게 특혜를 주려는 의도로 보일 수 밖에 없다”고 밀실행정을 비판했다.

또 “대구 시민들의 대표기관인 시의회를 끝까지 속이고 기만한 것은 의회의 권위에 정면으로 도전한 행위로 절대 있을 수 없는 독재 시대적 발상”이라고 맹비난 했다.

kkw53@ilyoseoul.co.kr

김기원 기자 kkw53@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