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고은별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계·기업·정부는 전체 경제 규모보다 세 배나 더 큰 빚을 떠안고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27일 한국은행의 자금순환표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 비영리단체·비(非)금융 법인기업, 일반정부의 부채 총액은 3607조3000억 원으로,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1272조5000억 원) 대비 부채 총액의 비율은 283%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통계가 작성된 이래 가장 큰 수치로 외환위기(1998~1999년·227%)나 금융위기(2008년 274%, 2009년 278%) 당시보다도 더 높다.
GDP 대비 가계·기업·정부 부채의 비율은 2003년 221%를 기록한 이후 2006년 236%, 2007년 246%로 오르더니 금융위기를 맞은 2008년에는 274%로 훌쩍 뛰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280% 선을 돌파했다.
GDP 대비 부채 비율이 증가한 것은 2000년대 들어 경제주체들의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났기 때문이다.
2003년 148조1000억 원에 불과했던 정부(중앙+지방)부채는 지난해 469조6000억 원으로 3.2배 늘어났다.
비금융법인(민간기업+공기업·주식 및 출자지분, 직접투자 제외)의 부채 역시 같은 기간 988조6000억 원에서 1978조9000억 원으로 늘었고, 가계·비영리단체는 559조3000억 원에서 1158조8000억 원으로 각각 2배 수준 증가했다.
하지만 이에 비해 경제성장 속도는 더딘 것으로 확인됐다. 2003년 명목 GDP는 767조1000억 원에서 지난해 1272조5000억 원으로 1.7배 증가하는데 그쳤다.
고은별 기자 eb8110@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