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복권사업팀 관계자는 “1등 당첨자들을 분석한 결과 40대 초반이 가장 많고, 30대가 그 다음”이라며 “이같은 비율은 로또를 즐기는 연령층과도 일치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기존의 복권과 달리 OMR 방식으로 진행되다보니 고령층들은 이에 익숙하지 않은 면도 작용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당첨자들의 직업분포도 회사원들과 자영업자들이 많다는 게 사업팀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처럼 많은 직장인들에게 대박의 환상을 심어준 로또 1등 당첨자는 54회(12월13일)까지 모두 205명이다. 이들의 1등 1인당 평균 당첨 금액은 41억8,800만원이고, 최고 당첨금은 407억2,300만원(4월 12일)이다. 특히 100억대 이상 당첨자도 8명에 달한다. 1등 당첨자 205명이 사는 곳은 서울이 64명(31.2%)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40명(19.5%) 인천 15명(7.3%) 부산 12명(5.9%) 경남 11명(5.4%) 등의 순이었다.그러나 815만분의 1의 경쟁을 뚫은 205명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그야말로 ‘일장춘몽’에 불과했다. 심지어 로또에 목숨을 건(?) 일부 사람들은 자신의 전 재산을 탕진하는 부작용도 낳았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국가기관이 앞장서서 국민들의 근로의식을 마비시키고 사행심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 올 2월에는 이진우 변호사 등 변호사 6명과 시민단체 간부 등 9명이 로또복권 발행을 담당하고 있는 행정자치부 장관 등 관련 부처장관 7명과 판매를 담당해 온 국민은행장 등 12명을 불법복표를 발매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이들은 당시 고발장에서 “현행법령은 복표발행을 사회적 법익을 해치는 범죄로 규정하고 특례법에 따라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지만 로또복권은 아무런 법적 근거 없이 발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기관만 살찌운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평생 벌 수 없는 거액을 한 번에 만질 수 있는 로또에 열광했다. 그동안 판매됐던 로또복권 판매액이 이를 잘 증명해준다. 12월13일 현재 로또복권 총 판매액은 3조6,942억3,600만원으로 이 금액은 정부가 당초 예상했던 연 매출 3,500억원대의 10배를 넘어섰다.당첨금과 각종 비용 등을 제외한 판매금액의 30%는 공익기금으로 조성되는데 정부기관은 발행 1년 만에 약 1조 1,082억 7,080만원의 기금을 마련한 셈이다. 이 돈은 각종 정부·지자체 사업에 쓰여지고 있다.이에 대해 국민은행 복권사업팀 관계자는 “외국은 로또 발행기관이 한 곳이지만, 우리나라는 정부기관을 비롯해 여러 곳이다”며 “이는 국가기관의 부족한 재원마련을 위함인데 로또복권은 공익기금 조성 측면에서 커다란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이 관계자는 또 “그 동안 무분별하게 남발된 복권이 많아 발행 경비도 맞추지 못하는 복권도 있었다”며 “이를 정리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로또가 발행되면서 복권시장이 자연스럽게 재편되게 됐다”고 설명했다. 로또복권이 경쟁력 없는 복권을 시장논리로 사라지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민단체 관계자는 “정부 기금으로 쓰이는 수익금 운영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게 더욱 시급하다”며 “현재 10개 정부부처 기금으로 쓰이는 로또 수익금의 사용처는 기관별 배분율만 정해져 있을 뿐 구체적으로 어느 사업에 투자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인철 chlee@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