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길 시의원은 이날 언론에 배포한 자료를 통해 “서울시장 보좌부서를 특정한 성향의 외부시민단체 출신위주로 인사한 것은 서울시를 희망제작소 수준으로 착각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시장보좌직 14명 중 6명이 외부인사
주 의원에 따르면 시장실 보좌직 14명 중 일반직 출신은 7명인 반면 외부시민단체와 희망제작소(아름다운 가계 포함) 출신이 6명이나 된다. 또 정무부시장실 보좌직 4명 중 2명, 정책특보실 3명 중 3명, 미디어독서실 1명 중 1명, 정무수석실 7명중 5명이 희망제작소를 비롯한 외부출신인사들로 채워져 있다.
주 의원은 이와 관련 “1000만 시민의 혈세를 집행관리하고 시민의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는 수준 높은 시정발전을 위해서는 능력이 검증되고 숙련된 공무원 조직을 활용하는 등 보다 신중한 인사행정을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주 의원은 이어 “서울시는 신임감사관을 공개채용방식으로 지난 2월 16일 임명했으나 박원순 시장은 송병춘 전 서울시교육청 감사관을 사실상 내정한 허위의 공개채용방식이었다”며 “곽노현 전 교육감의 최측근인 송병춘 신임감사관은 업무상 기밀누설죄 혐으로 고발조치 돼 있어 감사관으로서 부적절한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주 의원은 “서울시 감사관 공개채용에 응시한 송 신임감사관은 서울시 감사관 채용심사(1월11일)가 실시되기 전인 1월 2일 서울시교육청 감사관직을 사직했다”며 “감사관 채용 심사도 받기 전에 교육청 감사관직의 사표를 낸 것은 사전에 본인이 서울시 감사관직을 내정받은 것으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주 의원은 특히 “송병춘 신임감사관의 배우자는 2012년에 서울시 예산 2500만원을 지원받은 ‘학교급식 전국네트워크’의 신임대표를 맡고 있으며 박원순 서울시장의 정책자문위원으로도 위촉되어 서울시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라면서 “배우자는 서울시장 측근에서 시정에 참여하고 시민의 혈세를 지원받는 시민단체의 책임자로 있는 정황 등으로 볼 때, 시민세금으로 모은 서울시 예산 23조에 대한 집행을 철저히 감사하고 시정의 올바른 집행을 독립적으로 감시해야 하는 감사관의 직위에는 매우 부적합한 인사라 아니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서원호 기획취재국장 os054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