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김종현 기자] 부도위기에 몰린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에 대해 코레일이 자본금 증자 카드를 꺼내들면서 민간출자사에 대한 압박강도를 높이고 있다.
코레일은 26일 용산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플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의 자본금을 증자하는 방안을 담은 사업협약서 변경 안을 오는 28일 드림허브 이사회에 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코레일은 현재 1조 원인 드림허브 자본금을 5조 원으로 증액하자며 이를 위해 2조6000억 원을 추가로 내놓겠다는 것이다.
이는 코레일 소유 사업 부지를 드림허브에 매각한 뒤 아직까지 받지 못한 땅값 5조3000억 원(이자 등 금융비용 제외) 가운데 49%를 자본금으로 전환해 탕감해주겠다는 것.
이와 함께 코레일 측은 민간출자사들에게 지분과 시공권 등 기득권을 내려놓고 1조4000억 원의 증자에 새로 참여할 것을 제안했다.
이 안건이 드림허브의 이사회에서 통과되면 신규 출자한 규모에 따라 지분을 재분배하게 된다. 이럴 경우 가장 많은 자본금을 내놓은 코레일(지분 25%)이 최대 주주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반면 사업주도권을 놓고 코레일과 갈등을 빚고 있는 롯데관광개발(15.1%)은 추가 자본금을 내놓지 않는 이상 최대 주주 자리에서 밀려나게 된다.
여기에 삼성물산도 증자에 참여하지 않으면 수주한 111층 랜드마크 빌딩 시공권도 타사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사업이 부도날 지경이니까 기득권을 포기하고 원점에서 검토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삼성도 지분 14.5%를 보유한 주요 주주인 만큼 좀 더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드림허브는 28일 이사회에서 코레일의 증자 안에 대해 검토할 예정이다. 하지만 경쟁입찰로 시공권을 따낸 삼성물산의 반발과 롯데관강개발이 입장을 바꿔 지분 감소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적어 통과 여부는 불투명 하다.
그러나 용산사업의 부도위기가 차츰 현실화됨에 따라 민간출자사들도 무조건 코레일 안을 거부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todida@ilyoseoul.co.kr
김종현 기자 todida@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