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고동석 기자]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는 21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위장전입에 대해 사실을 시인하면서도 부산 땅 투기 의혹에는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했다.
이날 인사청문회는 정 후보자의 공직 재임시설 활동과 도덕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우선 1988년 9월 부산지검으로 발령받고 가족들이 모두 이사했음에도 자신은 정작 주소를 서울 구로구 독산동 누나 집으로 이전한 것이 위장전입이라는 지적에 사실이라고 시인했다.
정 후보자는 “당시 집이 없어 주택청약예금을 들어놓은 상태에서 주소를 부산으로 옮기면 무효가 되는 상황이었다”며 “무효가 되면 다시 청약예약에 가입해 50세가 넘어야 집을 마련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법을 위반했지만 조금 억울하다”고 털어놓았다.
땅 투기 의혹은 두 건이 나왔다. 1995년 경남 김해시 삼정동 땅을 매입한 한 것을 두고선 “당시에는 개발이 안 돼 한가한 곳이었다. 가보면 투기지역인지 (아닌지)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다. 주택지”라고 항변했다.
1978년 부산 재송동 땅 투기 의혹은 “투기는 아니다”고 반박했다. 부산지검 동부지청이 재송동으로 이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장인이 '그쪽으로 가면 값은 유지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에서 산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밖에 아들의 7억짜리 아파트 분양 매입 과정에 1억 원의 증여 사실을 시인했다.
김해시 진영읍에 있는 정 후보자 부인의 상속 건물이 공직자 재산신고 때 누락된 것은 “철저하게 따지지 못해서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말했다.
서울중앙지검 3차장 재직 시절에 박지만 씨의 히로뽕 투약 사건을 '봐주기 구형'을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강력 부인했다. 3차장 당시 지만씨 를 구속 기소했고, 구형은 자리를 옮긴 뒤에 이뤄졌다고 했다.
'전관예우' 논란과 관련해선 “관련 요건이 강화됐으나 아직도 국민의 기대에는 미흡하다. 철저히 관리하겠다”며 비켜갔다. 전관예우 개선 방안으로는 “(취업제한) 기간을 늘리든지 변호사 (수를) 늘리는 부분 등을 앞으로 더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로펌 시절 급여를 사회에 환원하는게 어떠냐'는 질문에는 “저도 유익하게 쓰려고 구상하고 있다. 제 행동을 통해 보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사청문특위는 청문회 마지막날인 22일 오전 추가로 정 후보자의 로펌 시절 급여, 아들 병역면제 의혹을 한 차례 더 짚은 뒤 오후 전체회의에서 청문보고서 채택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kds@ilyoseoul.co.kr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