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의 정치행보 이르지 않다... 앞으로 역할 있을 것”
“새 지도부가 재보선 치르게 하는 것도 골치 아픈 일”
“새로운 정치혁신위원회 구성…文-安 합의안 이어갈 것”
-어려운 시기에 비대위원장 맡았다. 각오가 있다면?
▲기본적으로 비대위는 비상한 시기에 구성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대위 기간은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 비대위의 가장 큰 과제는 빠른 시기에 전당대회를 치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대선에 대한 자체 평가 역시 중요한 문제다. 마지막으로 정치혁신을 할 수 있도록 그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비대위의 중요 소임이라고 생각한다.
-전당대회 시기와 관련해 4월 재보선을 전후로 당내 이견을 보이고 있다. 전대 시기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일단 내 입장은 길게 끌고 가지 않겠다는 것이 기본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물리적으로 이를 추진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다. 또한 새 지도부가 재보선을 치르게 하는 것도 골치 아픈 일이다. 당헌 당규에 따라 주어진 시간 안에 전대를 치르도록 노력하겠다.
-전당대회 룰도 매우 중요하다. 그간 몇 번의 경선에서 당심과 모바일심이 다르다는 지적도 많았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는가?
▲나 또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의견을 취합해서 수정할 부분은 적극 수정할 방침이다.
-비대위원 인선은 어떻게 이뤄질 계획인가. 아울러 김영록 의원을 사무총장에, 변재일 의원을 정책위의장에 임명했는데, 그 배경은 무엇인가?
▲일단 친노인사들은 비대위에서 빼기로 했다. 그들이 잘못했다기보다는 대선 패배에 대한 평가를 하는 입장에서 그렇게 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했다. 일단 호남인사 가운데 고를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많은 호남지역구 의원들이 차기 지도부를 염두에 두고 있어서 이런 분들은 배제해 김 의원을 선택하게 됐다. 김 의원은 합리적이며 주류도, 친노도 아니다. 그런 면에서 매우 적격자라고 판단했다. 또한 충청을 배려할 필요도 있었다. 현재 원내대표도 그렇고 비대위원장인 나도 수도권 인사다보니 지역을 배분할 필요성이 있었고, 그렇게 해서 김 의원과 변 의원이 사무총장과 정책위의장에 각각 인선된 것이다.
-비대위원 가운데 염두에 둔 외부인사가 있다면?
▲생각해둔 몇 명의 외부인사가 있다. 하지만 아직 결정되지 않은 사안에 대해 거론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
-안철수 전 후보를 끌어안는 문제도 중요하다. 이에 대한 입장은?
▲우리는 언제나 개방돼 있다. 우리 마음대로 되지는 않겠지만 안 전 후보 측을 수용하는데 많은 노력을 할 것이다. 일단 새로운 정치혁신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그래서 안 전 후보와 문 후보 측이 합의한 새정치 혁신안을 이어가도록 할 생각이다. 일단 비대위 구성을 완료해 다음 주 월요일 중에는 첫 회의를 열 계획이다. 그 다음 새 정치 혁신위원회를 꾸릴 계획을 갖고 있다.
-문재인 후보의 정치행보에 대해 아직 이르다는 지적도 많다.
▲나는 이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르다고 생각하는 분들의 입장도 고려할 필요는 있다. 이는 문 후보가 대선 패배에 대해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무한책임이 있다고 본다면 자숙기간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문 후보는 개인 문재인이 아니다. 당이 필요로 하는 인물이며, 충분히 앞으로의 역할이 있는 분이다. 당장 비대위에 들어오기는 어렵지만 앞으로의 역할을 생각한다면 받아들여야할 부분이라고 본다.
-대선 패배 이후 ‘친노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입장은?
▲더 이상 왈가왈부할 성격은 아니라고 본다.
-박근혜 당선자에 대한 생각은?
▲나는 그분이 꼭 성공한 대통령이 되기를 바라는 입장이다. 새누리당과 각을 세우는 것은 그렇지만 야당은 야당다워야 하고, 여당은 또 여당다워야 한다. 각을 세운다는 말을 쓰고 싶지 않다. 하지만 당선자의 주장대로 국민대통합을 이루고, 경제민주화, 복지, 민생을 위해 노력한다면 민주통합당도 적극 도울 것이다.
<정찬대 기자> mincho@ilyoseoul.co.kr
정찬대 기자 minch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