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세버스 활용·택시부제 해제 등 버스파업 대비
경기도, 전세버스 활용·택시부제 해제 등 버스파업 대비
  • 고은별 기자
  • 입력 2012-11-21 16:46
  • 승인 2012.11.21 16: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고은별 기자] 경기도가 버스 파업에 대비해 24시간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기로 했다.

도는 21일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가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포함하는 법안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률안으로 상정된 것에 반발해 오는 22일 0시부터 무기한 버스 운행 중단을 예고함에 따라 비상수송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우선 각 시·군에 전세버스 또는 관용차량을 활용해 셔틀버스 형태로 가까운 전철역과 연계 운행토록 지시하고, 11개 시·군 4607대 택시부제를 해제했다.

아울러 마을버스 파업 불참 시, 마을버스 등에 대한 개선명령을 통해 지선 구간은 단축하고 전철역을 연계토록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 버스업계 대표를 대상으로 파업을 철회토록 설득하고 있다고 도는 전했다.
 
도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경기도의 1일 버스 이용객은 506만 명에 달해 버스 운행이 중단될 경우 교통대란이 우려된다”며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한 만큼 자가용 함께 타기에 적극 동참하는 등 성숙한 시민의식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또 “중앙정부 차원에서 택시업계를 지원하고 버스업계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제시돼 이번 사태가 조속히 해결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eb8110@ilyoseoul.co.kr

고은별 기자 eb8110@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