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팔성의 꿈’ 한 가지는 이루나…행원 반발은?
‘이팔성의 꿈’ 한 가지는 이루나…행원 반발은?
  • 김나영 기자
  • 입력 2012-11-20 09:11
  • 승인 2012.11.20 09: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금융그룹, 우리카드 분사 초읽기


- 이 회장, ‘민영화ㆍ매트릭스ㆍ카드 분사’… 셋 중 하나는 이룬다?
- 정권 말 자리보전 여부는… 김석동 금융위원장과의 사전 교감설도

[일요서울 | 김나영 기자] 우리금융그룹(회장 이팔성)이 주춤하던 우리카드 분사에 힘을 실으면서 다시금 금융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우리카드는 2002년 우리은행에서 독립했다가 2003년 카드대란 당시 경영악화로 2004년 우리은행에 편입된 바 있다. 이에 지주사는 분사를 재추진하고 은행 노조는 이를 반대하면서 대치해 왔다.

하지만 최근 금융위원회(위원장 김석동)가 우리카드 분사를 승인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실상 분사 쪽으로 추가 기울어지는 형국이다. 때문에 반년 전까지만 해도 우리카드 분사 절대불가론을 내세우던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입장이 급선회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이팔성 회장과 김 위원장의 사전 교감설도 나오고 있다.

우리금융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 9일 은행분할신청서를 금융당국에 제출했고 지주사도 지난달 29일 카드업허가신청서를 금융위에 제출했다. 우리은행이 카드사업부문을 분리하고 우리금융이 새 카드사를 설립하는 형태다.

지금까지와는 달리 금융당국도 “우리금융의 카드 분사를 불허할 이유가 없다”면서 긍정적인 태도로 돌아섰다. 때문에 사실상 분사 초읽기에 들어간 우리금융은 이르면 연내에 새 카드사를 출범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미 지난 9월 이사회에서 우리카드 분사 안건을 통과시킨 후 태스크포스(TF) 팀을 꾸려 준비 중이다.

하지만 우리은행 노조의 반대는 만만찮을 전망이다. 카드업황이 극도로 나쁜 상황에서 굳이 다시 분사를 추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우리카드는 한 번 분사했다가 무너진 전력이 있다. 이를 은행에서 겨우 살려놓았는데 분사를 재추진하는 것은 지주사의 영향력 확장을 위함이라는 지적이다.

만약 다시 분사한 우리카드가 부실화하면 결국 은행이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 또한 새 카드사 신설이 향후 민영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있다. 적어도 1000명이 넘는 은행원들의 차출도 근심거리로 떠올랐다. 이에 지주 측은 “카드사로 이동하는 은행원에게는 연봉을 올려주고 3년 근무 후 은행 복귀를 선택할 수 있다”는 안까지 제시했다는 전언이다. 

혼란 거듭해 온 우리카드 분사

우리카드 분사에 관한 움직임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동안 카드 분사가 주기적인 논의에만 그쳤던 것은 분사를 반대하는 은행과의 내부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민영화를 위한 매각 시도와 그룹 내 매트릭스 도입 등 산적한 현안들에 우선순위가 밀린 까닭도 있다.

현재 우리카드의 경우 은행 내 카드사업부문으로 자리하기 때문에 이를 분사하면 결과적으로 그룹 내 은행의 비중과 영향력이 저하된다. 때문에 은행 노조는 비공격적 영업임에도 큰 수익을 내는 우리카드를 분사할 이유가 없다며 카드 분사를 반대해 왔다.

외부적으로는 분사 승인 여부도 불투명했다. 최근에 와서 금융당국의 카드업계 규제가 고강도로 이뤄진 탓이다. 신규 카드사 승인이 불허되는 것은 물론 새 카드 출시조차도 눈치를 보는 살벌한 분위기 속에서 우리카드 분사를 기대하기란 어려웠다.

더구나 카드대란 이후 전업계 카드사들이 무너져 은행에 합병됐고 우리카드 역시 2004년에 은행으로 흡수된 전적이 있다. 이로 인해 금융당국의 입장에서는 전업계보다 은행계 카드사를 원하는 것이 당연했고, 은행계로 돌아온 우리카드를 또다시 분사시켜 전업계로 승인해 줄 필요가 없는 상황이었다.


‘절대불가 외치던 금융위, 입장 선회한 까닭은

특히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지난 1월 우리카드 분사를 두고 “절대 될 일이 없다”고까지 말했다. 하지만 지주사가 금융위에 카드 분사에 관한 의향을 꾸준히 타진한 결과 지난 하반기부터 긍정론이 급물살을 타면서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타행 관계자는 “대외적으로는 금융위가 우리카드 분사를 반대할 명분이 없어졌다는 이유를 내걸고 있지만 사실 변한 것은 크게 없다”면서 “이팔성 회장과 김석동 위원장의 사전 교감이 거의 확실시되면서 지주사가 허가신청서를 냈고 은행도 어쩔 수 없이 분할신청서를 따라 낸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KB국민카드가 지난해 3월 출범한 이후에도 금융위의 불허 입장은 확고했기 때문에 “최근 금융위의 입장이 선회한 것은 타 금융의 카드 분사와 비교했을 때 형평성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것”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은 셈이다.

무엇보다도 우리금융에는 공적자금 투입이 이뤄져 정부의 입김이 센 상황이다. 때문에 타 금융사 회장들보다 이 회장이 자리보전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은 이미 금융권에 정설처럼 퍼져 있다. 이로 인해 우리금융이 솔로몬저축은행을 추가 인수한 것은 타 금융보다 큰 압력을 받았기 때문이며 그 댓가로 카드 분사를 승인받을 것이라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권 말 자리보전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이팔성 회장이 우리카드 분사를 위해 솔로몬저축은행 추가 인수 등으로 금융위와의 교감에 힘쓴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 회장이 카드 분사를 마지막 작품으로 중도사퇴할지 혹은 민영화까지 이루면서 임기를 모두 채울지에 촉각이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나영 기자> nykim@ilyoseoul.co.kr

 

김나영 기자 nykim@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