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금융사 국제금융센터 입주 실적 예상 못 미쳐
외국계 금융사 국제금융센터 입주 실적 예상 못 미쳐
  • 전수영 기자
  • 입력 2012-11-12 10:18
  • 승인 2012.11.12 10: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요서울 | 전수영 기자] 29일 개장을 앞둔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의 외국계 금융사 유치실적이 당초 계획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무리한 사업 추진과 부실 협약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김명신 서울시의회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IFC에 입주한 금융사 및 지원기관의 비중은 연면적 기준 59%로 이 중 금융지원기관 및 국내사를 제외한 외국계 금융사의 비중은 1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지난 9일 진행된 2012년 서울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와 같이 저조한 유치실적을 지적하면서, 운영권자인 AIG와 서울시 간의 유치관련 협약 체결 여부에 대해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이날 감사결과, IFC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운영권을 가진 다국적 금융사인 AIG의 노력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외국계 금융사 일정비율 유치노력 등 프로젝트 목적에 맞는 협약 사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IFC는 서울시를 ‘아시아 금융 허브’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이명박 대통령의 서울시장 재임시절인 2005년 서울시와 AIG그룹 간에 체결된 계약에 따라 건립되었다.

건설 및 운영을 담당하는 AIG가 서울시에게 임대료를 지급하는 대신 서울시가 90년간 부지를 제공하는 이 계약을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특혜 논란이 일기도 했다.

김 의원은 이에 대해 “단순히 부동산 사업을 영위하려는 AIG와 서울시를 동북아 금융허브로 만들고자 하는 당국 간의 동상이몽에 따른 결과 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혜 논란이 일고 있는 임대 조건과 주변 빌딩의 공실률 증가 우려에도 불구하고 IFC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 있었었단 것은 프로젝트의 성공에 따른 시너지효과 기대 때문”이라며 “현재의 실정을 성공이라고 볼 수 있겠는가”라고 성토했다.

이런 지적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프로젝트가 아직까지 미완성임을 시인하면서, 사업 추진 당시에는 외자유치가 국가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으나 이후 전반적 세계경기불황에 따라 프로젝트가 난항을 겪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문제가 된 협약 사항에 대해서도 유치관련 의무조항 등이 부재했음에 대한 아쉬움을 표했다.

김 의원은 “IFC가 국제금융센터라는 당초 목적에 맞게 운영되도록 시가 최선을 다해 줄 것”을 촉구하는 한편, 최근 서울지하철9호선 및 우면산터널 등으로 논란이 된 금융사 맥쿼리를 예로 들며 “철저한 이해관계를 앞세운 외국금융자본의 성격을 고려할 때, 서울시는 관련 협약 단계에서 시민의 이익을 위해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jun6182@ilyoseoul.co.kr

전수영 기자 jun6182@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