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보보안 최정예 인력 양성한다
정부, 정보보안 최정예 인력 양성한다
  • 안호균 기자
  • 입력 2011-07-07 16:15
  • 승인 2011.07.07 16: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정보보안 분야를 이끌어 갈 상위 1% 수준의 최정예 전문 인력을 발굴·양성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정부는 7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임채민 국무총리실장 주재로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를 열어 '정보보안 인력양성 추진 방안'을 지식경제부로부터 보고받았다.

추진 방안에 따라 정부는 정보보안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국내외 해킹 방어대회 입상자들을 대상으로 특별 교육 실시하고 해외 연수와 창업 보조 등의 특전을 부여할 계획이다.

아울러 고려대에 사이버 국방학과를 설치해 2012년부터 집중 교육을 실시하고, 졸업자는 사이버 사령부나 육·해·공군 장교로 임관토록 해 군 정보 보안분야 전문가로 육성할 예정이다.

KAIST 정보보호대학원에는 IT융합 분야 특성화연구소가 설치되며, 관련 분야 연구개발(R&D) 활동과 장학생들에 대한 지원이 강화된다.

실무 인력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방안도 마련됐다. 정부는 산학 공동 석사과정을 개설해 참여 기업이 졸업자를 채용하는 '고용계약형 석사제도'를 내년까지 5개 대학으로 확대하고, 정보보안 기사 자격을 신설해 전산 공무원 채용시험의 필수자격증으로 지정키로 했다.

또한 정부는 정보보안 인력 수요 증가에 발맞춰 정보보호 분야 담당 공무원을 증원하고, 금융기관 등 민간부문에도 정보보안 전담 인력 배치를 의무화 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행정안전부는 정보보안 인프라를 2014년 92% 수준까지 확충하고, 국민생활에 파급효과가 큰 교통신호·정수장·홍수통제소·가스·지역난방·정유 등 6개 분야 39개 제어시설의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지정을 권고하겠다고 보고했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발생한 증권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 사고 등을 감안해 주요 증권사 사이버트레이딩 시설 등을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하겠다고 보고했다.

이날 회의에서 임채민 국무총리실장은 "오늘은 7·7 디도스 공격이 있은지 2년이 되는 날로, 앞으로 다양화되는 사이버공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대책도 보다 더 발전된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라며 "인력이 경쟁력인 만큼, 인력 부분에 대한 적극적 지원에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안호균 기자 ahk@newsis.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