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저축銀 사태는 MB정부 금융권 낙하산 인사문제"
민주 "저축銀 사태는 MB정부 금융권 낙하산 인사문제"
  • 장진복 기자
  • 입력 2011-06-02 12:11
  • 승인 2011.06.02 12: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당은 2일 저축은행 비리사건과 관련, "이명박 정부의 과도한 낙하산인사로 금융시스템의 위기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정책위원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최근 전국금융산업 노동조합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려대 출신 9명, 인수위원회와 대선캠프 출신이 8명, 소망교회 출신 1명, 동지상고 3명, 기타 4명 등 모두 24명(1명 중복)이 이명박 정부의 낙하산 인사로 금융계에 진출했다"고 말했다.

정책위는 "금융계의 낙하산 인사가 문제되는 것은 '관치금융'을 통해 금융을 멍들게 하고 경제를 망치고 있기 때문"이라며 "최근 부동산 경기 하락에 따라 연체율 증가 등 부실 급증으로 저축은행 사태와 같은 금융시스템의 문제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박영선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삼화저축은행을 인수한 우리금융지주의 회장은 이명박 정부 금융권 낙하산 인사의 대표적 인사인 이팔성 회장"이라며 "이 회장은 고려대 출신임과 동시에 이명박 대통령과 인수위 대선캠프 출신"이라고 밝혔다.

박 정책위의장은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수천만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검찰에 소환된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장에 대해 "포털사이트에 검색해 보면 정당인 김 원장(의 인물정보)은 정당인으로 나오는데 한나라당 수석전문위원 출신"이라며 "당에서 무슨 일을 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영택 의원은 금융위원회가 산은금융지주의 우리금융 매각을 돕기 위해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개정 검토에 나섰다고 지적하며 "'킹만수'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금융 및 경제계의 실세인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의 메가뱅크론(초대형은행) 청사진을 뒷받침하고자 하는 일회성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또 "민주당은 우리금융의 민영화가 아닌 초대형 관치금융을 초래할 산은지주로의 편입을 막기 위해 금융지주법 시형령에 규정돼 있는 9% 이상 지분 취득 규정을 법률로 상향 조정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newsis.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