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곯는 오산시청
오산시 직원은 526명, 시청 구내식당(이하 식당)은 평균 250명(시청 직원 200명·외부인 50명)의 식수계산으로 음식물을 조리·운영 중이다. 최근에는 값이 싼 구내식당을 찾는 외부 방문객들의 발길이 늘고 있다. 하지만 식당은 최근 을지훈련과 폭우 등에 따른 식수계산을 제대로 못해 밥이 부족해 배를 곯는 직원은 물론 외부에서 시청을 찾은 노인들까지 생겼다. 계절적 요인으로 한끼당 식사비는 올랐지만, 이처럼 식당 종사자들의 서비스는 제자리에 맴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 21·22일 점심시간에는 식당 앞에 길게 늘어선 이용자들에게 공급할 밥이 없어 되돌아서는 웃지못할 광경이 목격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찬호 자치행정과장은 “직원들 사이에서도 식당 영양사에 대한 좋지 않은 태도에 민원이 끊이질 않는다”면서 “앞으로는 밥이 없어 식당을 이용치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 대책을 마련, 이용자 서비스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구멍 뚫린 ‘조리실’
음식물을 조리하는 오산시청 조리실의 경우 바닥엔 썩은 찌든 때가, 내부 시설 역시 쾌쾌한 냄새와 함께 곳곳에는 유통기한도 없는 식자재가 냉장고를 가득 채우고 있다. 조리실 한편 구석에는 폐식용유를 담은 통이 휴지에 뒤덮여 방치돼 있었고, 식자재 역시 곳곳에 널부러져 있었다. 축산물은 물론 수산물까지도 유통기한 없이 검은 봉투에 담아져 냉장 중이다. 식당 냉장고에는 유통기한도 없는 도라지와 검은 봉투에 고기류·야채류 등이 가득 차 있었고, 특히 봉지가 뜯긴 냉장용품도 한쪽 구석에 버려져 있었다. 조리실 입구는 개방돼 식당을 찾은 방문객 누구나 출입이 가능했다. 이처럼 식당 관계자들의 위생이 엉망인 셈이다.
구내식당 영양사 A(무기계약직)씨는 “처음부터 이런 방식으로 식당이 운영돼 왔고, 지금까지 아무런 문제없이 잘 운영 중이기 때문에 무엇이 문제인지 도대체 이해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자치행정과 김순본 팀장은 “비위생적 조리실에 대한 문제를 수차례 영양사에게 개선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며 “식당 정기점검에도 수차례 문제가 생겼는데, 점검을 안 한 시기에 식당 위생이라면 생각하기도 싫다”고 했다.
구내식당 ‘불법’ 왜?
오산시청 구내식당은 식자재 공급업체와 계약이 없다. 결국 음식물 사고에 대비키 위한 ‘음식물배상책임보험’조차 가입이 안 된 상태다. 계약도 없는 상태에서 시가 수년간 물품을 공급받은 꼴이다. 국가법은 오산시에서 ‘무용지물’이다. 오산시청에는 ‘법’이 없는 셈이다. 시는 전통시장 활성화 차원에서 식자재 공급업체 선정을 ‘중앙시장 번영회’에 위탁해 놨다. 번영회는 시 위탁에 따라 3개월씩 식자재 공급업체를 선정해 시에 물품을 공급 중이다. 물론 당초 계획대로 3개월씩 업체가 바뀐 경우도 있지만, 번영회 입맛에 맞는 업체의 경우 꾸준하게 오산시청에 물품을 공급 중이다. 영양사 A씨는 “오산시청 영양사로 14년 근무를 해왔고, 그동안 이런 방식으로 식당을 운영해 왔다”고 말했다.
구내식당 ‘비리백화점’ 온상
계약도 없이 운영된 식당의 경우 식자재 공급업체와 식당 책임자의 역할(?)이 크다. 현재 영양사 A씨가 식자재 공급업체에 대한 물품 구매는 물론 검수·식단까지 조정하는 식당 운영의 현 책임자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식자재에 대한 공급가 역시 영양사와 업체 간 협의로 끝난다.
결국 물품 공급가는 영양사의 몫인 셈이다. 제보자 B씨는 “식당 식자재 구매의 경우 영양사가 맘대로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업체를 살릴 수도, 죽일 수도 있는 권한이 있다”면서 “우기시 과일이나 야채의 경우 가격이 오르기 때문에 영양사에게 잘한 업체의 경우 가격을 높여줄 수도, 또 물품 구매를 줄여 업체를 도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과정을 밟게 되면 영양사의 업체 영향력은 더욱 커진다. 식자재 공급가가 원가의 2배에서 많게는 6배까지 차이나는 가장 큰 이유다. 한편 오산시청 구내식당의 경우 만약의 음식물 사고에 대비해 이를 역학적으로 조사해 정확한 음식물 사고의 원인을 규명키 위한 ‘보존식’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 남부 주재 김장중 기자>
경기 남부 주재 김장중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