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산하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최운식 부장검사)은 지난 16일 계좌 추적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아울러 오 전 대표로부터 ‘박 원내대표에 대한 로비 명목으로 김 전 부회장에게 건넨 액수가 총 4억 원’이라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조사에서 오 전 대표는 김 전 부회장에게 유상증자 유치 대가로 7억 원을, 박 원내대표에 대한 로비자금 명목으로 2억 원을 건네는 등 모두 9억 원을 줬다고 진술했다. 오 전 대표의 추가 진술로 검찰은 모두 4억 원의 돈이 박 원내대표에게 전달된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는 별개로 박 원내대표는 이미 2010년 6월 전남 목포에서 오 전 대표로부터 ‘보해저축은행에 대한 수원지검 수사와 금감원 검사가 잘 마무리될 수 있도록 힘써 달라’는 부탁과 함께 3000만 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으며, 임건우 보해양조 회장(65·구속기소)으로부터 별도의 3000만 원을 수수한 의혹도 받고 있다.
또한 지난 2007~2008년 사이 임석 솔로몬저축은행 회장(50·구속기소)으로부터 2차례에 걸쳐 5000만 원을 받은 혐의도 함께 받고 있다.
검찰은 이 같은 혐의를 포착하고 박 원내대표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한 바 있으며, 박 원내대표는 지난달 31일 검찰에 자진 출석해 조사를 받기도 했다. 현재 박 원내대표는 “어떠한 로비자금도 받은 적이 없다”며 혐의를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오 전 대표의 진술을 확보한 검찰은 김 전 부회장을 상대로 박 원내대표에게 실제 로비가 이뤄졌는지 파악 중에 있으며, 김 전 부회장을 불러 박 원내대표의 주변인물과 접촉했는지 여부를 집중 추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검찰은 김 전 부회장이 지난해 박 원내대표의 보좌관 K씨를 한 차례 만났다는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실제 K씨에게 돈이 전달됐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검찰은 조만간 K씨를 불러 김 전 부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았는지, 그리고 받은 돈을 박 원내대표에게 전달했는지 등을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의 검찰수사를 종합해보면 “저축은행 퇴출을 막아 달라”는 오 전 대표의 청탁명목으로 모두 4억 원의 돈이 박 원내대표에게 흘러갔으며, ‘오문철→김성래→K보좌관’의 전달경로를 거친 것으로 의심되고 있다.
현재 검찰은 민주통합당 박지원 원내대표와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을 일괄 구속기소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서로 다른 사건이긴 하지만 검찰로서도 두 번의 부담을 안을 이유가 없는 만큼 이 둘을 함께 기소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야당 원내대표와 현 정부 실세 의원을 함께 구속 기소함으로써 ‘정치검찰’이라는 야권의 공세에 정면 돌파하는 것은 물론 방탄 국회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도 함께 깔린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민주통합당은 박 원내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에 예의주시하는 등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현기환-현영희 공천헌금 사태로 새누리당에 집중됐던 비난의 화살이 민주통합당으로 옮겨올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특히 박 원내대표가 검찰에 자진 출두하면서 한 차례 위기를 벗어났다고 생각한 민주통합당은 검찰의 재 반격에 상당히 곤혹스러워하는 눈치다. 더욱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국 주도권이 뺏기는 것은 물론 대선을 앞두고 악재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검찰 수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찬대 기자> mincho@ilyoseoul.co.kr
정찬대 기자 minch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