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김영환, 북한 요청으로 고문당한 듯”
하태경, “김영환, 북한 요청으로 고문당한 듯”
  • 정시내 기자
  • 입력 2012-07-30 11:22
  • 승인 2012.07.30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 <사진자료 = 뉴시스>

[일요서울 | 정시내 기자]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이 30일 중국 당국의 북한 인권운동가 김영환 씨에 대한 전기고문 의혹과 관련, “심각한 전기고문까지 외국인들을 상대로 한 것 치고는 강도가 좀 세다. 북한의 강력한 요청이 있지 않았을까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태경 의원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 세상 오늘’에 출연, “김영환 씨가 잡히기 전에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같이 붙잡힌 세 사람은 중국에서 오랫동안 10년, 13년 이렇게 활동을 했던 분”이라며 “북한 국가안전보위부가 계속 추적을 했고 중국 정부한테 요청을 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영환 씨가 받은 고문과 관련 “가혹행위는 크게 세 종류를 이야기할 수 있다”며 “전기봉에 의한 전기고문, 한 달 동안 수갑을 찬 채로 의자에서 재운 것, 조사받는 한 달 중 특히 6일간은 아예 잠을 안 재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 의원은 또 “고문은 구금 초기에 집중적으로 이뤄졌다”며 “전기고문도 묵비권 행사 시 처음에 집중했다. 길게 잡아둘 이유도 없었는데 고문흔적을 지우려고 중국이 한 달 이상 더 잡아둔 것 같다. 중국 정부는 김영환 씨에게 고문 관련 이야기를 하지 말라고 수차례 협박했다”고 주장했다.

김 씨의 중국내 활동 및 체포 사유와 관련, “김영환 씨 본인이 처음에 기자회견 할 때 얘기를 했지만 포괄적으로 이야기하면 북한인권 민주화 운동을 한 것”이라며 “북한 내부의 인권정보 같은 걸 수집했었다. 그 활동을 하는 과정에 중국 국적의 협력자들이 있었고 중국이 더욱 이 사건에 무게를 두고 조사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정부 대응이 저자세 외교였다는 여론과 관련 “만약 동일한 사건이 미국이나 일본에서 일어났으면 촛불시위도 하고 국민들도 엄청나게 들고 일어났을 것 같다”며 “고문까지 당하는 상황에서도 중국과의 경제적 이익이나 여러 가지 안보적 이익 때문에 우리 국민들이 침묵해야 되느냐”고 비판했다.

또 “중국과 북한을 향해서라도 고문 같은 반인륜적인 문제에 있어서는 좀 당당하게 이야기하고 단일한 기준의 잣대를 가지고 중국과 북한을 대해야 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 타당한 것이 아니겠느냐”며 “국민들이 좀 받쳐줘야 정부도 좀 더 강하게 원칙적으로 중국에 대응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hoihoilo@ilyoseoul.co.kr

정시내 기자 hoihoilo@ilyoseoul.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