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이창환 기자] 인천시가 최근 불거지고 있는 정부의 ‘인천국제공항 급유시설 운영권 민영화 소식’에 대해 반대의견을 분명히 했다.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 정부 민자시설 중 최초로 무상사용 기간이 끝나는 인천공항 ‘급유시설’은 활주로·터미널시설·관제시설·수하물 처리시설과 함께 인천공항의 핵심 필수시설이다.
인천시는 급유서비스는 항공기 운영자에게 필수 서비스인 동시에 공항이 이윤을 낼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공항에 대한 재투자가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소유·경영권이 처분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인천공항 급유시설 소유·운영권’은 당연히 인천공항공사에 이전(현물 출자)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전했다.
인천시는 급유서비스는 항공기 운영자에게 필수 서비스인 동시에 공항이 이윤을 낼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공항에 대한 재투자가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소유·경영권이 처분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인천공항 급유시설 소유·운영권’은 당연히 인천공항공사에 이전(현물 출자)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전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향후 인천공항과 관련된 민자사업에 의한 기부채납 시설의 운영 또한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보다는 공항운영자(공항공사)와 사업자(기존 운영자), 관계 전문가, 지자체 등이 참여해 충분한 사전협의와 논의를 통하여 시설운영권 결정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창환 기자 hojj@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