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ㅣ정찬대 기자]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이 16일 당내 대선후보 경선룰 논란과 관련 “선수들이 경선룰에 개입해 각자 자기에게 유리하게 해 달라, 이렇게 요구하고 나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전날 결선투표제 도입을 요구하며 손학규, 김두관, 정세균 후보 측이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비문재인 연대’를 결성한 것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문 고문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경선룰을 준비하는 기획단이 있고, 또 최고위원회, 당무회의 등 의사결정 구조가 있기 때문에 대선후보들은 거기에 맡기는 것이 옳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나는 국민들이 경선 과정에서 대대적으로 참여해 경선이 축제처럼 될 수 있도록 완전국민경선으로 치러야 한다는 대원칙에 관심 있다”며 “나머지 기술적이고 세부적인 룰에는 관심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사실상 결선투표제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피력한 것이다.
그는 ‘현 경선룰이 1위만 유리하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도 “나는 민주통합당 창당을 통해 이제 정치에 참여한 입장인 반면 다른 분들은 오랫동안 당을 이끌어왔던 지배세력 아니냐”고 반문한 뒤 “그런 분들이 서로 담합해 경선룰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만들어야겠다고 나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재차 비판의 목소리를 견지했다.
문 고문은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내세운 ‘경제민주화’와 관련해 “경제민주화가 화두처럼 돼 있으니까 자기들도 하겠다고 간판만 걸고 있다”며 “경제민주화는 재벌개혁의 출발인데, 박근혜 후보는 이러한 재벌개혁이 없다”고 날을 세웠다.
그는 또 경제민주화의 개념을 처음 도입한 김종인 교수가 박근혜 캠프에 있는 것에 대해 “연목구어(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찾는다)라는 고사성어가 생각난다”며 “김 교수가 경제민주화에 대한 의지가 있다면 민주통합당이나 나에게 와서 이를 함께해야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문재인 고문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 제안한 공동정부론에 대해 “아직도 유효하다”며 “우리가 정권교체를 위해 힘을 합쳐야 한다는 부분은 그대로 유지되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정찬대 기자> mincho@ilyoseoul.co.kr
정찬대 기자 minch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