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 | 정시내 기자] 박근혜 새누리당 경선 후보가 11일 오전 대전 유성구 정부통합전산센터를 방문해 ‘향후 정부 운영에 대한 구상’을 발표했다.
박 후보는 향후 정부 운영에 대해 “개인별 ‘맞춤행복’을 지향하는 정부 3.0시대를 달성하겠다”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투명한 정부, 유능한 정부, 서비스 정부 이 3가지 실천과제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그는 투명한 정부와 관련해서 “국민이 정부가 하는 일을 모두 알아야 하며 정부가 투명하게 공개될 때 신뢰가 쌓일 수 있고 그래야 국민통합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유능한 정부에 대해서는 “과거의 추격형 모델에서 선도형 모델로 바꿔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보다 많은 지식을 창조·축정·공유함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선도하는 정부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서비스 정부와 관련해, “국정의 중심에 국민을 놓고 국민 한분 한분의 필요와 요구를 해결해야 한다”며 “모든 정책이 공급자인 정부 중심에서 수요자인 국민 맞춤형으로 바꿔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 전 위원장이 ‘정부 3.0시대’ 달성을 위해 제시한 7대 공약은 ▲정보공개 대상 폭 대폭 확대 ▲공공정보 개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 기반 조성 ▲정부 내 협업 시스템 구축 ▲정부와 민간과의 협업 확대 ▲지식경영시스템 구축과 활용을 통한 정책역량 강화 ▲맞춤형 서비스 정부 구현 ▲국가미래전략센터 구축 운영이다.
그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대한 법률’을 개정해 모든 공공정보에 대해 국회에 공개하는 수준까지 국민에게 각종 행정정보를 공개할 것”이고 “개방된 공공정보를 개인과 기업이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정부 내 협업시스템 구축과 관련 “부처 간 칸막이를 허물어 원활한 의사소통 환경을 조성할 것”이며 “향후 정부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업무 지식과 정책지식을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통합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박 후보는 국가 미래전략센터 구축에 대해서는 “국가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에 방대한 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미래전략 시스템을 구축해 급변하는 국내외 환경에 대비해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대응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출마 선언 이후 가장 먼저 정부운영에 대한 구상을 발표한 이유에 대해 “정부가 국가경영의 기본이고, 새로운 국정기조에 맞춰 정부부터 먼저 변해서 국민에게 솔선수범하겠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hoihoi@ilyoseoul.co.kr
정시내 기자 hoihoil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