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전 지사는 8일 오후 “이번 대선은 '국민 아래 김두관'과 '국민 위의 박근혜'의 대결”이라며 민주통합당 대선 레이스 경선에 앞서 출사표를 던졌다.
김 전 지사는 올 대선을 여권 대선주자 중 대세론을 이어가고 있는 박근혜 새누리당 전 비상대책위원을 특권층의 대변하는 상징으로 자신을 평등사회를 지향하는 서민출신으로 양자대결의 싸움이 될 것이라고 규정했다.
그래서 그는 “경청·현장·소통·서민을 상징하는 김두관과 오만·독선·불통·최상류층을 상징하는 박근혜 중 누가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느냐”고 반문하면서 스스로 야권의 필승카드임을 부각시켰다.
김 전 지사는 “서민들의 삶의 현장을 모르는 사람은 지도자가 될 자격이 없다”며 “서민이 키워서 이 자리에 온 김두관은 국민 다수가 원하는 개혁을 망설임없이 추진할 수 있는 야권의 유일한 필승카드”라고 자임했다.
그는 또 “평등국가가 김두관이 만들고자 하는 세상”이라며 “패자에게 기회를 주는 사회로는 부족하다. 네가 살아야 나도 살 수 있는 '숲의 법칙'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경제민주화와 보편적 복지를 공약으로 서민 중심의 다채로운 공약을 제기했다. 대표적으로는 ▲서민·중산층 생계비 매월 50만원 경감 ▲학비 부담 해소 ▲사회적 자원과 일자리 연계 ▲노후 보장 ▲지방 분권 ▲한반도 경제공동체 구축 ▲탈핵·탈토건 국가환경정책 등으로 평등사회 실현을 위한 방법론을 역설했다.
김 전 지사는 “집권 후에는 99%를 대표하는 만민공동체를 수시로 열어 99%의 소망과 염원을 경청하겠다”며 “우리 모두의 꿈을 이루는 최선봉에, 국민 아래에 김두관이 서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선출마를 선언한 뒤 기자회견을 갖고 자신의 낮은 지지율에 대해 “8월 20일 전후 당내 경선에서 충분히 뒤집을 수 있다”고 자신했다.
경남도지사 직을 중도 사퇴한 비판 여론에 대해선 “처음으로 야권의 도지사가 돼 공동지방정부를 운영하고 나름의 성과 있었기 때문에 아쉬움을 표현하는 분들도 있지만, 이왕 결심한 이상 그분들도 민주정부 대선승리를 위해 함께 해줄 것으로 안다.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kds@ilyoseoul.co.kr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