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서울|정시내 기자] 김태효 청와대 대외전략 기획관이 5일 오전 한일군사정보보호 협정 밀실 추진 논란과 관련해 사의를 표명했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공식 브리핑을 갖고 김태효 대외전략 기획관이 이명박 대통령을 직접 만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폐기 가능성에 대해 “현재로서는 국회를 설득하고 국민의 이해를 구하려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그 결과에 대해서는 보고 말씀을 드려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 기획관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6월 내 처리’를 지시하고, 실무를 담당한 외교부의 조세영 동북아시아 국장이 국무회의 비공개 처리 아이디어를 내고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기획관은 외교안보연구소 연구위원 출신으로 성균관대 교수로 재직하다 이 대통령의 핵심 참모로 발탁돼 현 정부 출범 이후 대북정책을 주도해왔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 각종 외교 현안에서도 중추적인 핵심 브레인 역할을 맡아왔다.
김 기획관의 사퇴와 관련, 새누리당 김영우 대변인은 “김태효 청와대 대외전략기획관의 사의표명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업무적으로 책임질 위치에 있었다는 점에서 적절한 판단”이라며 “청와대는 외교 안보라인에 업무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신속하게 (김 기획관의 사의 처리를) 마무리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번 한일 군사정보보호 협정 밀실처리 파문의 또 다른 당사자인 김황식 국무총리,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대해서는 별도의 책임을 묻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김 기획관의 사퇴 문제와 별도로 진상조사를 계속 진행해 관련자에 대해 엄중 문책한다는 방침이다.
정시내 기자 hoihoilo@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