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차 진상보고서는) 매우 사실적 근거가 취약한 만큼 사퇴시기를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그는 “혁신비대위가 추천한 김동한 2차 진상조사특위 위원장도 보고서가 매우 부실하고 객관성과 공정성을 상실했다고 항의하며 사퇴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동한 진상조사위원장이 지난 26일 보고서 발표 직전, 조사의 공정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돌연 사퇴한 것을 염두에 둔 말이다. 이런 이유를 들어 그간 2차 진상조사 결과 책임질 일이 있으면 사퇴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뒤집었다.
이는 2차 진상보고서의 공정성에 문제를 삼아 혁신비대위측의 사퇴 요구를 정면으로 거부하는 것은 물론, 계속해서 당원과 의원직을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의원은 “2차 보고서의 핵심인 온라인 투표다. 우리나라 최고의 전문가에게 외주를 줬는데 보고서도 전면 폐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지적하며 보고서 자체가 객관적인 진실이 결여됐다고 주장했다.
한마디로 혁신비대위측인 내놓은 2차 보고서가 매우 부실하기 때문에 제명도 사퇴요구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김재연 의원 역시 보도자료를 통해 “청년비례선거와 관련한 의혹은 소스코드 열람을 통한 투표값 조작논란이었는데, 2차 진상조사특위의 최종보고서에서는 투표값에 대한 조작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밝혀줬다”며 이 의원과 보조를 맞췄다.
오히려 김 의원은 “2차 진상조사특위는 이러한 사실에도 청년비례선거에 문제가 없었음을 공식화하지 않았다”며 “청년비례선거는 문제가 없었음을 공식화하고 훼손된 청년선거인단의 명예를 회복시켜달라”고 혁신비대위측의 사퇴요구를 정면으로 반발했다.
앞서 강기갑 혁신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YTN라디오 ‘김갑수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선거의 정당성과 신뢰성을 인정할 수 없는 그런 선거로 드러났다. 1차 진상조사를 확인한 2차 진상조사 보고서였다”며 구당권파를 향해 진상보고 결과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일 것을 촉구했다.
kds@ilyoseoul.co.kr
고동석 기자 kds@ilyoseoul.co.kr